• 검색

[China Watch]"상하이 자유무역지대, '기회의 땅'"

  • 2014.02.27(목) 17:15

위안탕쥔 푸단대 연구센터 주임
"자유무역지대, 韓기업에 새로운 기회"

중국 정부가 야심차게 추진하는 상하이 자유무역지대(SFTZ)는 우리나라 기업에 '기회의 땅'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금융을 비롯해 의료와 통신, 법무, 운송, 엔터테인먼트 산업 등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위안탕쥔(袁堂軍) 푸단(復旦)대학 아주경제연구센터 주임은 27일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비즈니스워치 주최로 열린 '시진핑 정부 2년차, 중국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 세미나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8월 세계도시로 발돋움하고 있는 상하이에 자유무역지대 설립을 정식으로 승인했다. SFTZ는 중국 대륙 내에 최초로 설치되는 자유무역지대로 서울 여의도 면적(2.9㎢)의 9배인 총 28.78㎢의 규모다. 

 

위안 주임은 중국 정부가 SFTZ을 만든 목적은 "자유무역지대란 실험을 통해 중국 경제가 나아갈 방향을 결정하고, 중국의 개혁 의지를 드러내기 위한 것"이라고 소개했다.

 

미국의 양적완화와 일본의 아베노믹스 등으로 글로벌 경제 지형도가 바뀌는 가운데 중국내의 산업 구조도 변하면서 시진핑-리커창 정부는 기존의 틀을 깨는 경제 개혁으로 눈을 돌리게 됐다고 분석했다. SFTZ는 경제 개혁을 위한 일종의 시범 단지란 설명이다.

 

▲ 중국 상하이 자유무역지대.

 

위안 주임은 "SFTZ는 중국 경제의 미래 비전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위안 주임은 중국이 SFTZ를 통해 중점적으로 개혁하려는 영역은 금융과 해운, 무역, 법률, 문화, 사회 서비스 등이라고 소개했다. 이는 한국 기업들이 강점을 갖는 분야로 한국 기업에 새로운 기회를 가져다 줄 수 있다고 조언했다.

 

구체적으로 금융업의 경우, 중국 정부는 기준에 부합하면 외자 금융기관이나 외자 은행 설립을 승인한다고 설명했다. 민간 자본 및 외자 금융기관 합자은행도 조건만 맞으면 설립할 수 있고 관리 감독이 가능하면 중국 은행의 해외업무도 승인할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무역지대내 금융대출회사를 설립할 경우 최소 설립자본에 대한 제한이 두지 않기 때문에 금융 리스업에도 기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위안 주임은 "한국계 은행들이 중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적지만 SFTZ로 한국을 비롯한 외국계 기업들이 진출할 때 편의를 지원한다면 좋은 사업 기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의료 분야도 외국자본이 전문 건강의료 보험기관을 설립할 수 있으며 통신 분야에선 인터넷 정보 안전이 보장될 경우 외국계 자본의 통신 업무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위안 주임은 "중국에서 한국 드라마가 크게 인기를 끌고 있어 한류를 앞세운 게임이나 화장품 산업 등이 유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SFTZ에서는 원양 화물 운송업도 합자회사를 통해 설립할 수 있다. 위안 주임은 "운송업은 한국 기업들이 경쟁력을 갖고 있다"라며 "SFTZ에는 항구가 있어 한국 기업들이 관심을 가질만하다"고 설명했다.

 

위안 주임은 "중국의 발전은 국제 환경과 국내 제도의 큰 영향을 받는다"라며 "국내로는 국유기업 개혁, 민생과 환경 개선, 올바른 법치제도 마련이 필요하며 대외적으로는 적극적인 경제 협력과 투자 영역 개방 그리고 무역 자유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중국의 개혁 목표는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각국의 발전 목표와 같다"라며 "아시아 국가들과 협력해 윈윈(Win-Win)하는 경제 성장을 이룰 것"이라고 말했다.


위안 주임은 "개혁이 심화됨에 따라 중국내 투자 환경 역시 크게 개선될 것"이라며 "중국과 한국의 경제 협력 정도가 큰 만큼, 앞으로 한국 기업이 중국 시장에서 많은 기회를 얻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위안 주임은 중국 상하이 명문인 푸단대학 경제학 교수로, 대학내 아주경제연구센터 주임을 맡고 있다. 일본에서 10여년간 학술활동을 한 경력으로 현재 국립 히토쓰바시대학 경제연구소 객좌교수로도 활동 중이다.

 

2010년 본토로 귀국해 중국세계경제학회 이사직을 맡고 있다. 동북아시아를 중심으로한 국제경제학을 비롯해 발전경제학 및 수량경제사 등을 전문분야로 삼고 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