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아시아나 대준 돈 600억…500억 까먹은 에어서울

  • 2018.03.13(화) 16:26

LCC 최후발 주자…초창기라 작년 순익적자도 267억
작년말 10배수 증자로 '자본잠식 50%' 제재는 피해

아시아나항공의 저비용항공(LCC, Low Cost Carrier) 자회사인 에어서울이 재무구조개선 명령 기준을 가까스로 맞추며 제재 위기를 모면했다. 설립 3년차에도 자본금 규모를 크게 넘어서는 적자를 냈지만 작년말 긴박하게 감자와 액면가 10배 수준의 유상증자를 단행해 가까스로 자본잠식률을 50% 밑으로 떨어뜨렸다. 

 

 

13일 아시아나항공 등에 따르면 에어서울은 지난해 매출 1084억원에 순익 적자 267억원을 기록했다. 2015년 아시아나항공이 지분 100%를 출자해 세운 에어서울은 설립 초년 19억원, 이듬해인 2016년 218억원의 순손실을 낸 바 있어 작년까지 3년간 누적 적자는 504억원으로 불어났다.

 

지금까지 아시아나항공이 에어서울에 쏟아 부은 돈은 총 600억원이다. 일단 2015년 4월 설립 당시 5억원을 최초 출자한 뒤, 10월 145억원을 증자해 국토부가 정한 LCC 자본금 기준 하한선인 150억원을 맞췄다.

 

이듬해인 2016년 8월에는 200억원을 추가로 증자하면서 자본금을 350억원으로 늘렸다. 이 때까진 출자금 만큼 자본금을 확충하는 식이었다. 하지만 작년에는 달랐다. 250억원을 추가 출자했지만 에어서울 자본금은 오히려 175억원으로 절반 줄었다. 구체적으로 보면 이렇다.

 

에어서울은 작년 11월 7대 3 무상감자를 단행했다. 이 때문에 자본금은 종전의 7분의 3인 150억원으로 줄었다. 그러고는 그 다음달 액면가의 10배인 주당 5만원에 50만주를 발행해 250억원을 투입했다. 250억원을 출자했지만 자본금은 25억원만 늘어나도록 한 것이다.

 

여기에는 이유가 있다. 에어서울은 2016년 말 69.1%(자본금 350억원·자본총계는 108억원) 자본잠식 상태였다. 하지만 작년 말 감자와 증자가 있었기 때문에 자본잠식률을 48.1%(자본금은 175억원·자기자본 91억원)로 떨어뜨릴 수 있었다. 

 

 

에어서울이 이렇게 작년 11월과 12월 다급하게 잇달아 감자와 증자를 한 것은 항공당국인 국토교통부가 자본잠식률 등을 기준으로 삼아 부실 항공사를 퇴출시키는 규제를 두고 있어서다.

 

국토부는 '2분의 1 이상 자본잠식(자본잠식률 50% 이상)이 3년 이상 지속되는 항공사'에 대해 '재무구조 개선 명령'을 내린다. 이후에도 재무상태가 개선되지 않으면 운항면허 취소까지 할 수 있다. 특히 이 규제는 오는 14일부터 입법예고를 거쳐 더욱 강화된다. 개정 후엔 자본잠식률 50%를 한 해만 넘기더라도 재무구조 개선 명령 대상이 된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에어서울의 경우 2017년이 정상 영업을 한 첫 해인데 누적 손실을 감안할 때 연말 감자와 증자가 없었다면 자본잠식률 50%를 넘겼을 것"이라며 "이렇게 항공사 재무 건전성을 따지는 이유는 안전투자 소홀 등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나 사고 가능성 등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LCC 업계 막내인 에어서울은 모회사 아시아나의 중단거리 적자 노선을 받아안고 태어났다. 이런 태생 탓에 수익 개선이 쉽지 않은 사업구조다. 하지만 올해부터는 흑자를 내지 못하면 회사 존립 자체가 어려운 셈이다. 박삼구 금호아시아나 회장이 올 초 신년사에서 에어서울에 "작년 적자를 벗고 반드시 올해 사업목표를 달성해 줄 것"을 당부한 것에도 이런 배경이 있다.

 

에어서울은 작년 상반기까지 아시아나항공으로부터 A321-200 기종 3대를 빌려 다카마쓰, 시즈오카, 나가사키, 요나고, 히로시마 등 일본노선과 동남아 3개 노선(마카오, 씨엠립, 코타키나발루)을 운항했다. 하반기부터는 같은 기종 3대를 늘려 오사카, 나리타, 홍콩, 괌 등에 추가 취항한 상황이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