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대우증권 홍성국 사장, 이사회의장 겸직 ‘딜레마’

  • 2015.03.24(화) 10:55

전임 김기범 사장 퇴임후 대표·의장 임시 분리
관례 ‘대표 겸임’ vs 모범규준 ‘사외이사중 선임’

대우증권이 홍성국(52) 대표이사 사장의 이사회의장 겸직을 놓고 ‘딜레마’에 빠졌다. 관례대로라면 홍 사장이 함께 맡는게 수순으로 보이지만, 최근 금융감독당국이 제시한 금융회사의 바람직한 지배구조를 마냥 무시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

▲ 홍성국 대우증권 사장
24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대우증권은 오는 27일 2014회계년도 정기주주총회를 열어 2014년도 재무제표, 이사 선임 안건 등을 승인할 예정이다. 등기이사 선임의 경우 대상은 4명으로 이 중 3명이 새롭게 이사회에 합류한다. 사외이사 4명을 포함해 총 7명의 이사수는 변동이 없다. 

우선 대우증권의 최대주주(지분 43.0%) 한국산업은행의 몫인 비상무이사 자리에는 구동현 산은금융지주 부사장의 뒤를 이어 전영삼 산업은행 기획조정부장(임기 3년)이 앉게 된다.

또 사외이사 4명중 2명이 변환철 법부법인 일흥 대표변호사와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로 교체(임기 2년)된다. 강정호 전 한국거래소 이사장이 임기 만료로 물러나고, 하우림 법률사무소 대표변호사가 올 1월 중도 퇴임한 데 따른 것이다.
  
강 전 이사장의 사외이사 퇴임과 맞물려 흥미로운 것이 앞으로 이사회의장을 누가 맡게 되느냐다. 2000년 5월 산업은행에 인수된 대우증권은 경영진 견제 기능을 갖는 이사회의 의장 자리를 한때 대표와 분리해 산업은행측 사내이사가 맡기도 했다. 이윤우 전 산은 부총재 시절(2007년 05월~2009년 11월)이다. 하지만 이 전 부총재 퇴임 이후로는 임기영 사장(대표 재임기간 2009년 06월~2012년 06월) 때부터 줄곧 대표이사가 의장을 겸임해왔다.
   
이런 지배구조에 또 한 차례 변화가 생긴 것은 김기범 사장(2012년 06월~2014년 07월)이 임기 1년을 남겨놓고 돌연 물러나면서부터다. 대표와는 별도로 사외이사 이사회의장으로 분리됐던 것. 즉 대표직은 구동현 부사장이 직무대행을 맡아오다 2014년 12월 홍성국 현 사장에게 넘겼고, 의장은 사외이사 중 강정호 전 이사장 맡아왔다. 따라서 강 전 이사장이 주총을 계기로 물러나면서 자연스레 의장을 다시 뽑아야하는 상황이다.

관례대로 라면 홍성국 대표가 맡는 게 정해진 수순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여기에는 또다른 문제가 있다. 지난해 12월 제정된 ‘금융회사 사외이사 모범규준’에 따르면 이사회의 독립성 확보 차원에서 자산 2조원 이상인 증권사는 사외이사 중에서 이사회 의장을 뽑아야 한다. 여의치 않을 때는 차선책으로 사외이사 대표인 선임 사외이사를 선임하도록 하고 있다.

대우증권 관계자는 “대표가 겸임할지, 사외이사 중에서 선임할지 결정나지 않은 상황”이라며 “주총이 끝난 직후 이사회를 열어 선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
  • 오늘의 운세
  • 오늘의 투자운
  • 정통 사주
  • 고민 구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