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치료제를 개발하던 신풍제약의 창업주 2세가 임상시험 중단 사실을 미리 알고 주식을 팔아 손실을 회피한 혐의로 검찰에 넘겨졌다. 신풍제약 창업주 2세는 주주들에게 임상시험 중단 사실을 고지하기 전 해당 정보를 가지고 주가 하락 전에 미리 주식을 팔아 369억원에 달하는 손실을 회피한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는 12일 제3차 정례회의에서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A 제약회사의 창업주 2세와 A제약회사 지주회사에 대해 자본시장법상 미공개중요정보 이용금지 위반으로 검찰 고발조치를 의결했다고 밝혔다.
증선위에 따르면, 창업주 2세는 제약사 A사의 사장이자 A사의 최대주주 및 지주사인 B사의 대표이사를 겸임하면서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이 2상에서 중단된 것을 미리 알았다. 이후 해당 정보가 공개되기 전인 지난 2021년 4월 자신과 가족들이 운영하는 지주사가 보유한 제약회사 A사 지분을 블록딜 방식으로 대량매도했다.
지난 2021년 4월 신풍제약 최대주주이자 지주사인 송암사는 보유하고 있던 신풍제약 주식 200만주를 1주당 8만4016원에 시간외매매(블록딜) 방식으로 처분했다. 장원준 전 신풍제약 대표는 2021년 당시 신풍제약 사장과 지주사인 송암사의 대표이사를 겸임하고 있었다. 현재 장 전 대표는 수십억 대 비자금 조성 혐의로 신풍제약 대표이사직에서 물러나고 송암사 대표이사직만 유지하고 있다.
증선위는 "자본시장 참여자들에게 모범을 보여야하는 코스피 상장사 실소유주가 오히려 일반인에게 공개되지 않은 내부정보를 이용해 부당이득을 취한 사건"이라며 "사안이 엄중하다고 보아 수사기관 고발 조치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증선위는 "내부자가 정보를 인식한 상태에서 거래를 한 경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정보를 거래에 이용한 것으로 보아 손익여부에 관계없이 처벌받을 수 있다"며 "미공개중요정보이용, 시세조종, 부정거래 등 자본시장법 상 3대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해서는 부당이득의 최대 2배까지 금융당국의 과장금 부과가 가능하다"며 주의를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