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작년 영등포역 무궁화호 탈선사고 원인은…'레일 부식 피로'

  • 2023.08.10(목) 09:34

분기기 텅레일이 부식피로로 부러져
반년 전부터 표면결함 여러차례 발견
국토부, 코레일에 과징금 부과 등 검토

지난해 11월 서울 영등포역 인근에서 경부일반선 무궁화호가 탈선한 원인은 분기기의 텅레일이 '부식 피로'로 인해 부러졌기 때문으로 조사됐다.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이하 사조위)는 지난해 11월6일 오후 8시52분경 벌어진 무궁화호 열차(용산→익산행) 궤도이탈사고에 대한 조사결과를 10일 발표했다.

지난해 11월6일 서울 영등포역 인근에서 발생한 무궁화호 열차 탈선 사고 개요./자료=국토부

당시 사고열차(편성 7칸)는 분기기를 약 67km/h의 속도로 통과하던 중 기관차의 후부차량(6칸)이 선로 왼쪽으로 이탈했고, 기관차와 후부차량이 분리되면서 각기 다른 선로에서 최종 정차했다. 

이 사고로 열차 승객 275명 가운데 80명이 다쳤다. 또 열차와 시설이 파손되고 178개 열차의 운행에 지장이 생기는 등 총 21억8000만원의 손해가 발생했다. 

사조위가 9개월에 걸쳐 조사한 결과, 직접적인 사고원인은 분기기의 텅레일(tongue rail·분기점에서 길을 바꿀 수 있도록 하는 레일)이 부식피로에 의해 선행열차 운행 중 부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부식 피로는 금속이 습기 등으로 부식되는 환경에서 반복적인 응력을 받아 피로와 부식이 동시에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텅레일이 부러진 데는 분기기의 전체 길이가 짧고 텅레일의 단면적이 일반레일에 비해 작아 피로에 취약한 구조였던 게 영향을 미쳤다.

아울러 다른 구간에 비해 열차 운행횟수가 하루 174번(일반철도 구간 중 최다)으로 많고 하중이 큰 열차가 많이 지나 레일 표면결함 발생 가능성이 높았다. 

약 6개월 전부터 텅레일의 표면결함이 여러 차례 발견됐으나 레일 연마나 교체 등의 정비도 이뤄지지 않았다. 지침에 레일 표면결함에 대한 구체적인 정비·관리 기준도 마련돼 있지 않았다.

사고발생 전 사고열차 전방 CCTV 영상 사진. 텅레일 부러져 있음./자료=국토부

사고 발생 6일 전에도 분기기에 대한정밀점검을 실시했지만 문제점 발견이나 조치가 이뤄지지 못한 것도 문제로 꼽혔다.

사조위는 코레일과 국가철도공단에 분기기 점검 및 유지관리 철저, 분기기 취약점 개선 및 관리기준 강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총 8건(코레일 5건, 국가철도공단 3건)의 안전권고를 발행할 계획이다. 

코레일에는 분기기 점검에서 레일 표면 결함이 발견되는 경우 분석·관리를 철저히 하고 정비 방안 수립·시행 등을 시행할 것을 주문했다. 

공단에는 열차 하중에 의한 변형에 취약한 구조인 탄성분기기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해 시행할 것 등을 권고했다. 

국토부는 조사보고서 및 관련 수사 결과 등을 토대로 코레일에 과징금 부과 여부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 

김수정 사조위 사무국장은 "관계기관에 조사보고서를 바로 송부해 안전권고 이행계획 또는 결과를 제출하도록 할 것"이라며 "아울러 지속적인 점검 및 독려 등을 통해 유사 사고가 재발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