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통일 투자법]①'대박' 기회 찾는 증권가

  • 2014.04.09(수) 15:59

무덤덤하던 북한이슈 `통일 혜택` 주목
북한 내수 잠재력·자원 등 `기회요인` 부각

박근혜 대통령의 "통일은 대박"이라는 발언 이후 남북통일이 새삼 주목받고 있다. 종전 이후 바라온 오랜 염원이자 꼭 이뤄야할 과제지만 젊은 세대일수록 통일에 대한 무관심이나 반감이 더 컸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통일이 실제 이뤄진다면 한국 경제와 금융시장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상당하다. 그간 득보다 실이 더 부각됐지만 과거 독일 사례를 비춰볼 때 득이 더 많다는 목소리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는 자연스럽게 투자 기회로 연결된다. 결국 통일이 되는 것이 맞다면 일찌감치 수혜주를 눈여겨 보는 것이 단순하면서도 가장 쉬운 방법이다. 한동안 대북문제에 무덤덤했던 증권가에서도 빠르게 일고 있는 통일투자 러시를 짚어봤다.[편집자주]


과거엔 '통일'하면 경제적 관점에서 막대한 통일 비용을 제일 먼저 떠올렸다. 실제로 통일이 될 경우 남북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드는 물리적 비용은 어마어마하다. 게다가 남북 간 문화적 인식의 차이나 빈부 격차에서 비롯되는 이질감은 비용으로 추산하기 어려운 문제다. 이미 통일을 겪은 독일은 동서독간 격차를 줄이는데만 15년이 넘게 걸렸다.

 

이렇다보니 그동안 통일의 역기능에만 모두가 집중해왔던 것이 사실. 하지만 통일이 되면 통일 이전에 불가능했던 것들이 가능해지면서 얻게되는 기회 역시 무궁무진하다. 대통령의 통일 대박 발언이 순기능에 대한 관심을 새삼 높인 셈이다. 이는 증권가에도 변화를 몰고 왔다. 대북 문제는 항상 증시의 발목을 잡는 지정학적 리스크로 지목됐지만  그간 너무 익숙한 재료로 치부해왔던 증권사들에게도 새롭게 눈에 들기 시작한 것이다.

 

◇ 대북문제 '무덤덤' 증권가, 통일 모멘텀으로 시선 옮겨 

 

최근 메리츠종금증권은 '향후 남북통일에 따른 한국경제 및 금융시장 파급효과'라는 보고서를 냈다. 과거 독일의 사례에 비춰본 남북통일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짚은 이 보고서는 내용도 내용이지만 무엇보다 증권가에서 통일 효과를 오랜만에 주목하게 하면서 이목을 끌었다.

 

이달초 KB투자증권도 20대 그룹의 통일 로드맵을 제시했다. 이 역시 독일의 통일 당시 금융시장 상황을 고려해 향후 수혜를 받을 수 있는 국내 대기업 그룹을 추렸다. 단순히 독일 사례와의 비교보다는 북한의 현재 상황까지 고려해 통일 과정에서 시기별로 부각될 수 있는 산업 섹터를 제시했다.

 

그간 증권가에서는 북한 문제에 대해 등한시했던 것이 사실이다. 워낙 한국 증시가 외생변수에 크게 좌우되는데다 북한의 핵 위협이나 김정일 사망 등 굵직한 대북뉴스에도 증시가 크게 반응하지 않은 터라 지정학적 리스크에 대한 분석은 크게 반향을 일으키지도, 애널리스트들 사이에서 주된 화두로 자리잡지도 못했다.

 

하지만 박근혜 대통령의 발언이나 한동안 악화됐던 남북관계가 다시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면서 경제이슈로서 통일이 주목받기 시작했고 증권가도 이를 놓치지 않았다. 마침 내년이면 남북분단 70주년을 맡는다.

 

오창섭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남북통일 자체는 굉장히 중요한 경제 이슈이고 경제협력이 다시 강화되면서 파급효과가 커질 수 있다"며 "올해는 하우스 차원에서 통일 쪽으로 포커스를 맞출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치적인 부분뿐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관심이 높아질 것이라며 "독일에서도 통일에 앞서 기대감이 먼저 작용한 만큼 우리 증시에서도 지속적으로 관심이 커질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 비용 상쇄할 혜택 충분..자원 넘어 내수 잠재력 주목

 

전문가들 사이에서 통일에 소요되는 비용은 최소 3000조원이 훌쩍 넘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하지만 그에 따른 혜택은 비용을 상쇄하고 남을 정도로 기대된다. 통일연구원은 금액으로 따지면 6800조원이 넘을 것으로 봤고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도 5000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분석했다.

 

대개 통일 후에 대해 쉽게 그릴 수 있는 청사진은 북한의 자원과 남한의 기술력이 만나 낼 수 있는 시너지다. 북한에 매장된 광물 가치는 천문학적 수치에 가까운 7000조원에 육박한다. 남한의 24배다.

 

전 세계가 주목하는 또다른 수혜는 유라시아 대륙 진출이다. 시베리아와 중국을 아우르는 한반도 종단철도가 지어질 경우 중국과 러시아를 거쳐 유럽으로 뻗어나갈 수 있다. 중국, 러시아뿐 아니라 일본 역시 유라시아로 향하는 길목을 주목하고 있다.

 

통일은 그동안 상대적으로 관심이 덜했던 내수 측면에서도 굉장한 호재다. 북한의 잠재적인 구매력은 최근 무섭게 성장 중인 동남아시아와 비견될만 하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북한의 1인당 명목 국내총생산(GDP)은 783달러로 베트남과 라오스보다 낮고 미얀마와 방글라데시와 경제 수준이 비슷한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북한은 TV와 냉장고 등 가전제품 보유율이 40%가 채 안되며 2030년 후에야 100%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밖에 인구가 8000만명으로 늘어나면서 누릴 수 있는 규모의 경제 효과나 국방비 절감, 군복무 단축에 따른 노동력 증가, 관광산업 발전, 국가 신인도 개선에 따른 투자 증대 등 다양한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 생생한 학습효과 독일..최상의 시나리오 삼을만

 

통일에 대한 불확실성이 엄청난 상황에서 그나마 이를 가늠해볼 수 있는 전례가 있다는 것은 행운이다. 독일은 통일 과정에서 상당한 후유증을 겪었지만 결국 이를 극복하고 세계 4위 경제대국으로 성장했다.

 

▲ 독일의 통일 전후 국내총생산(GDP) 추이(출처:메리츠종금증권)

 

물론 통일전 남북한의 격차는 과거 동서독 사이의 격차보다보 훨씬 크다는 점은 부담이다. 독일이 겪은 수십배에 달하는 고통을 겪어야 할 수도 있다. 1989년 서독과 동독의 GDP 차이는 10배가 채 안됐지만 2012년 남북한 간 GDP 격차는 40배에 육박한다. 1인당  소득격차는 더 심각하다. 채워야 할 갭이 훨씬 더 큰 셈이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이를 극복하게 되면 기회가 기다리고 있다는 것 또한 명확하다. 투자를 하는 입장에서는 과실을 선점하기 위해 결과보다 그 과정을 주목하기 마련이다.  독일은 1991~2003년 사이 도로와 철로, 주택 및 도시건설 등 인프라 재건을 위해 1600억유로를 지출했다. 지역경제나 교통 등 경제 활성화 지원에도 900억유로가 들었다. 정부는 우선적으로 막대한 비용을 지출했지만 관련 기업들에게는 노다지를 발견한 셈이다. 

 

독일은 통일 후 15년 가량이 지난 후부터 선순환이 발생하기 시작했고 이제 통일은 과거의 짐에서 든든한 성장기반을 넘어 여전히 발현되고 있는 잠재력으로 변모했다. 독일이 지난 2008년 금융위기에서 비교적 견실함을 유지하고 유럽 재정위기 때 유로존 소방수 역할을 자처한 비결의 숨은 원천일 수 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