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트럼프 시대]에너지·바이오주 뜬다는데…

  • 2016.11.09(수) 17:29

대체에너지 부담…원유공급 늘릴듯
제약·금융·방산주 수혜 기대해볼 만

도널드 트럼프의 승리로 증시 업종별 기상도도 완전히 뒤바뀔 조짐이다. 힐러리 클린턴 당선시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됐던 대체에너지업종은 일단 직격탄을 맞았다. 반면 공화당 집권시 수익률이 좋았던 업종들과 함께 전통에너지, 금융, 방산주는 일부 수혜를 입을 것으로 분석된다.

 

 

◇ 공화당 집권시 소비·산업재 성과 '굿'

 

역사적으로 미국 공화당은 투자보다는 소비에 초점을 맞추며 소비진작을 강조해왔다. 이 영향으로 과거 미국 대선에서 공화당이 집권하면 증시에서는 에너지와 소재, 산업재 업종의 수익률이 높았다. 

 

실제 2000년 공화당의 조지 부시가 집권했을 때에도 에너지, 소재, 경기소비재 업종 수익률이 두드러졌다. 트럼프가 승리할 경우에도 통상 친기업 성향이 강한 공화당의 수혜를 입을 수 있는 금융주와 자유소비재, 전통에너지주에 유리할 것으로 전망돼 왔다.

 

씨티그룹은 어느 후보가 이기든 자유소비재, 에너지, 금융, 보기술(IT)주들이 오를 가능성이 높고, 트럼프가 이긴다면 소재와 부동산 업종도 상승할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 인프라·전통에너지주 힘 받는다

 

트럼프의 대표적인 정책은 감세와 규제완화, 인프라투자다. 트럼프는 오바마케어 등 기초 사회보장 제도 확대에 대해서는 부정적 입장을 보였지만 인프라 투자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입장을 견지해왔다.

 

오히려 클린턴이 밝힌 금액(2750억달러)의 두배를 인프라 투자에 배정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따라서 건설과 통신 등 공공인프라업종에는 긍정적일 수 있다.

 

전통에너지주에도 힘이 실릴 전망이다. 친환경 에너지정책을 강조한 클린턴과 달리 트럼프는 국내 원유 생산량을 늘려 석유수출국기구(OPEC)로부터의 수입감소를 통한 통한 에너지 독립을 주장했다.

 

트럼프는 재생에너지 보조금 지급에 부정적이고, 석탄 등 전통에너지를 선호하며 화석연료 생산 확대를 주장하고 있다. 버락 오바마 정권에서 중단시킨 키스톤 XL송유관 건설프로젝트 재추진을 주장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 제약·금융주에 유리

 

헬스케어업종도 민감하게 반응할 섹터다. 트럼프는 오바마 대통령이 주도하는 미국의 의료보험 시스템 개혁 법안인 오바마케어 폐지가 목표다.

 

오바마케어는 전 국민의 건강보험 가입을 의무화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어 클린턴이 이기면 보험가입 인구 확대와 의료서비스 활용 증가로 이어지면서 병원과 의료시설, 의료보험 수혜가 예상돼 왔다. 따라서 트럼프의 당선은 관련 산업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대로 클린턴이 처방약 가격 규제를 주장한 것과 달리 트럼프는 약가 규제 의지가 크지 않은 상태여서 미국의 제약산업과 바이오산업 입장에서는 트럼프 당선이 상대적으로 유리한 것으로 점쳐진다.

 

금융주에도 나쁘지 않을 전망이다. 트럼프는 '도드-프랭크법'을 폐지해 은행 수익활동에 폭넓은 자유를 허용하자는 입장이다. 트럼프는 이 법안이 지방은행 등 소규모 금융회사들에까지 가혹한 잣대를 들이대면서 농민이다 중소기업들이 필요한 대출을 받지 못하고 대형은행의 쏠림현상을 키웠다고 주장해왔다.

 

이밖에 안보 분야에서 트럼프는 동맹국들의 책임분담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관계 재정립을 원하고 있어 국방예산 증가에 따른 방산주 수혜도 점쳐진다.

 

트럼프는 한국에 대해서도 무임승차론을 주장하며 미군 철수의지를 내비친 바 있다. 한국은 미군 방위분담금으로 총 주둔비용의 40%에 해당하는 9900억원을 지불하고 있으며 트럼프는 100% 한국이 부담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어 트럼프의 당선으로 방위분담금 증가가 어느정도는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