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OP(옛 아프리카TV)이 콘텐츠형 광고로 '매출 부풀리기'를 했다는 의혹에 휩싸였다. 앞서 택시 가맹사업 수수료를 총액법으로 계산하다 중징계를 받은 카카오모빌리티와 상황이 유사하다. 카카오모빌리티는 고의성이 없고 회계법인과 공모한 정황이 없었지만 '중과실' 징계를 받았다.
전체 매출의 3.5% 불과했지만
금융감독원은 SOOP이 게임 콘텐츠 광고 부문 매출을 인식할 때 회계처리 위반이 있다고 보고 조사 중이다. 게임 콘텐츠 광고 매출이 발생하기 시작한 기간은 2020년부터 외부감사인 검토를 마친 최근 사업분기인 2024년 3분기까지다.
SOOP은 게임사 등 광고주로부터 광고를 수주, 자사 스트리머(옛 BJ)를 섭외하는 방식으로 게임 콘텐츠 광고를 진행했다. 광고주로부터 받게 되는 광고비 대부분을 스트리머에게 지급하고, SOOP은 중개수수료 개념으로 일부 금액을 돌려받는다. SOOP은 스트리머에게 지급한 비용을 제하지 않고 전체 매출로 삼는 방법을 적용했다.
조사를 받고 있는 게임 콘텐츠 광고 매출은 SOOP의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다. SOOP에 따르면 2020년 20억원, 2021년 120억원, 2022년 270억원, 2023년 40억원, 2024년 1분기부터 3분기까지 누적 110억원이다. 지난해 누적 3분기를 기준으로 SOOP 전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3.5%에 불과하다.
최영우 SOOP 최고전략책임자(CSO)는 4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과거 회계법인이 외부감사 과정에서 총액이 아니라 순액으로 인식하라고 문제를 지적한 사실이 없다"고 해명했다. 또한 매출 부풀리기 의혹과 관련해 "전체 매출 대비 비중이 크지 않고 기업공개, 투자유치 등 매출을 부풀릴 동기가 전혀 없었다"고 말했다.
카카오모빌리티 '데자뷔'
회계 전문가들은 SOOP의 회계처리 기준 위반에 고의성이 있었는지가 관건이라고 봤다. 실질적으로 이뤄진 거래와 계약서상 내용이 같고, 외부감사 과정에서 문제가 없었다면 고의성을 입증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서동기 공인회계사는 "지금 드러난 것만으로는 고의적인 분식회계라고 보기 어렵고 총액법, 순액법 적용은 상장법인의 감사인이 판단할 사항"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실질적으로 이뤄진 거래와 계약서상 책임에 대한 소재나 업무를 하는 주체가 다르다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SOOP의 사례는 앞서 금감원으로부터 중과실 처분을 받았던 카카오모빌리티와 유사하다. 카카오모빌리티는 가맹택시로부터 받은 가맹수수료(약 19%)와 업무제휴수수료(약 16.7%)를 각각 매출과 영업비용으로 인식하는 총액법으로 회계처리를 했다. 그러나 금감원은 가맹수수료에서 업무제휴수수료를 차감한 금액(약 2.3%)만 매출로 인식하는 방식, 즉 순액법으로 처리해야 한다고 봤다.
회계처리 기준 위반 시 동기에 따라 고의·중과실·과실 제재를 받는다. 카카오모빌리티의 경우 금감원은 당초 고의 의견을 냈으나, 금융위원회 증권선물위원회는 고의성이 인정되지 않는다며 중과실로 판단했다. 당시 금융위 증선위는 대리인이 개입된 다수 계약으로 판단이 쉽지 않았고, 외부감사를 맡은 회계법인이 회계처리를 인정한 데다 매출 부풀리기를 통한 이익이 크지 않다고 봤다.
창업주 복귀하자마자 '암초'
고의적인 분식회계를 저질렀을 경우 과징금과 검찰 고발, 대표이사 해임 권고까지 이뤄질 수 있다. 그러나 앞선 사례로 미뤄 위법동기의 최고단계인 고의적 분식회계 혐의를 입증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한 단계 낮은 중과실 제재라도 처벌의 무게는 가볍지 않다. 카카오모빌리티의 경우 고의성은 없더라도 직무상 주의의무를 지키지 않은 점이 인정돼 과징금과 함께 재무담당임원 해임 권고 및 직무정지 6개월 등의 처분을 받았다. 증선위 심의자료는 수사 참고용으로 검찰에 이첩됐다.
어느 쪽이든 올해 서수길 창업주의 복귀로 본격적인 사업확장에 나섰던 SOOP은 암초를 만났다. SOOP은 별풍선으로 대표되는 기부경제선물 중심 플랫폼 사업뿐만 아니라, 광고 매출을 키우면서 수익구조를 다변화해왔다. 특히 SOOP만의 콘텐츠형 광고를 타사와는 차별적인 광고 상품으로 내세웠는데, 금감원 조사를 받으면서 사업이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