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멈춰선 롯데]上 선장이 없다

  • 2018.08.26(일) 12:17

신동빈 회장 구속 후 계열사 실적·주가 부진
주요 의사결정 차질…리스크 확대 우려 증폭


재계 5위인 롯데그룹이 흔들리고 있다. 롯데그룹은 지난 2월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구속 이후 지금까지 비상경영체제로 버티고 있다.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한 롯데에게 신 회장의 부재는 큰 타격이다. 대규모 투자도, 채용도 모두 '올 스톱'이다. 주요 계열사들의 실적도 부진하다. 롯데 안팎에서는 이미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선장을 잃고 표류하고 이는 롯데의 현 상황을 짚어본다. [편집자]

지난 2월 신동빈 회장이 구속된 이후 롯데그룹은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주요 계열사들의 실적 악화다. 특히 식음류, 유통 등 롯데의 근간을 이루는 사업들의 부진이 두드러진다. 사업 환경 악화도 문제이지만 더 큰 문제는 신 회장의 부재로 즉각적인 의사결정이 이뤄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 삐걱대는 실적

작년 롯데그룹은 전환기를 맞았다. 그동안 그룹의 숙원사업이었던 지주사 체제로의 개편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반도체 회로보다 더 복잡하다는 롯데그룹의 순환출자구조가 상당부분 해소됐다. 올해에도 지속적인 지분구조 개편을 통해 현재는 지배구조를 단순화해둔 상태다. 물론 아직 금융계열사 문제 등이 남아있지만 전반적인 큰 틀에서의 지배구조 개펀은 성공적이라는 평가다.

문제는 실적이다. 공교롭게도 지난 2월 신동빈 회장 구속이후 롯데 주요 계열사들의 실적은 급속도로 악화됐다. 특히 롯데그룹의 근간인 유통, 식음료, 호텔·레저 등의 실적이 좋지 않았다. 시간이 갈 수록 매출액은 줄어들고 순차입금은 늘어가는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 반면 케미칼이나 금융계열사들은 호실적으로 거두면서 이들이 롯데그룹의 실적을 전반적으로 지탱하고 있는 형태를 갖추고 있다.

▲ 자료:한국기업평가 (단위:억원).

실제로 한국기업평가에 따르면 롯데그룹의 소매유통 부문의 경우 지난 1분기 매출액은 전년대비 2.24% 감소했다. 식음료 부문의 경우 전년대비 11.8%, 호텔·레저 부문은 6.2% 줄었다. 하지만 석유화학부문의 경우 같은기간 3.2% 증가했다. 반면 순차입금은 소매유통 부문이 16.6%, 식음료는 33.9%, 호텔·레저는 19.8% 늘었다.

한국기업평가는 "소매유통부문의 수익성과 재무구조는 저조한 업황과 해외사업 부진의 영향으로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식음료부문은 우수한 사업안정성을 유지하고 있으나 신규사업의 투자효과 발현이 지연되 면서 수익성 하락 재무부담이 상승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호텔·레저부문에 대해서는 "약화된 수익성과 더불어 재무안정성이 개선되지 않고 있다"고 평가했다.

◇ 흔들리는 주가

총수의 부재와 더불어 실적 악화가 이어지자 롯데를 바라보는 시장의 시선도 점점 불안해지고 있다. 최근들어 롯데그룹 주요 계열사들의 주가는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최근 일부 계열사들의 주가는 52주 최저가를 경신하는 등 롯데그룹에 대한 투자심리도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롯데지주의 경우 지난 24일 종가 기준으로 신동빈 회장이 구속된 지난 2월 13일 대비 27% 하락했다. 같은 기간 롯데쇼핑은 17.8%, 롯데칠성은 13.2% 하락했다. 심지어 롯데그룹 계열사 중 가장 호실적으로 보이고 있는 롯데케미칼 마저도 같은 기간 주가가 28.4%나 하락한 상태다. 금융계열사인 롯데손해보험의 주가도 34.9% 하락했다.

▲ 단위:원.

롯데그룹 주요 계열사들의 주가가 이처럼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것은 최근 롯데를 둘러싼 환경이 좋지 않아서다. 특히 근간인 유통, 식음료 등의 경우 경쟁사들의 도전이 거센데다 각종 규제, 최저임금 인상 등으로 불안 요소가 많은 상황이다. 여기에 지속적인 투자 등을 단행해야 하는 시점임에도 신 회장의 부재로 이를 진행할 수 없다는 점이 큰 악재로 꼽히고 있다.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롯데를 바라보는 시장의 시선은 시간이 갈 수록 불안해질 수밖에 없다"며 "그동안 롯데가 성장해왔던 것이 과감한 투자와 M&A 등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최종 의사결정권자인 신 회장이 자리에 없다는 것은 그만큼 그룹의 성장 속도가 더뎌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만큼 시장이 좋게 볼 이유가 없다"고 밝혔다.

◇ 버티고는 있지만

롯데그룹은 현재 비상경영체제로 움직이고 있다. 황각규 롯데지주 부회장을 중심으로 각 BU장들이 그룹의 현안을 챙기고 있다. 중요한 의사결정 사안이 있을 경우 수감 중인 신 회장을 찾아 재가를 받고는 있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은 것이 사실이다. 사실상 현상유지를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는 것이 그룹 안팎의 전언이다.

롯데그룹이 가장 우려하는 부분은 대내외의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는 점이다. 그동안 롯데그룹의 크고 작은 현안은 신 회장이 직접 챙겨왔다. 실제로 신 회장은 해외 투자건의 경우 직접 본인이 방문해서 살피고 점검해왔다. 이후 사업성 등을 고려해 투자를 결정해왔다. 하지만 현 상황에서는 이런 결정을 내릴 수 없다. 자칫 잘못된 결정을 내렸을 경우 책임을 질 수가 없기 때문이다.

▲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사진=이명근 기자/qwe123@)

더불어 최근 정부의 각종 규제 강화 움직임과 최저임금 인상 등 롯데그룹의 주력 사업에 대한 환경 변화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신 회장의 부재로 이에 대한 능동적인 대응이 어려운 상황이다. 경쟁사들은 그룹의 컨트롤 타워를 중심으로 일사분란하게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찾고 있는 반면, 롯데는 큰 그림 보다는 작은 그림에 치중할 수밖에 없는 구조가 됐다.

한 재계 관계자는 "롯데와 같은 대기업의 경우 오너의 부재는 굉장히 치명적인 리스크"라면서 "신속한 판단과 과감한 결단, 대규모 투자 등을 결정하고 책임지는 오너가 없다는 점은 결국 그 기업의 성장이 정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미 국내 대기업들 중에 '잃어버린 몇 년'을 경험한 곳들만 봐도 오너 부재가 그 기업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

1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댓글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