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설 명절 연휴를 보내는 사이 쉬지 않고 돌아가는 국제금융시장 참가자들의 눈은 미국으로 쏠릴 예정이다. 미국이 올해 첫 고용지표를 연이어 발표하면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올해 첫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올해 최우선 목표를 물가 안정으로 잡고 있는 모습이다. 그리고 물가 안정을 위한 첫번째 과제인 고용과 관련된 지표가 발표된다.
미국 연준이 오는 3월 FOMC에서 정책금리 인상을 강하게 시사한 배경에 고용회복이 전제된 만큼 올해 첫 고용지표에 대한 관심이 쏠릴 수 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30일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주중 미국은 올해 민간 고용통계와 정부의 공식 고용통계를 연이어 발표할 예정이다. 내달 2일에는 민간 고용지표인 1월 ADP 취업자변동, 4일에는 미국 정부의 고용동향 지표가 나온다.
일단 최근 미국의 고용지표는 회복되는 모습이다. 미국 노동부는 지난 16일부터 22일 사이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26만건으로 집계됐다고 밝힌 바 있다. 전주 대비 3만건 감소한 것인데다가 증가세가 4주만에 꺾였다.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감소한다는 것은 그만큼 고용이 늘어나고 있다는 얘기다.
미국의 목표치는 '완전고용'이다. 모든 경제인구가 고용되면서 물가 성장세를 꺾을 수 있는 이상적인 상황을 추구하고 있다는 얘기다. 경제인구가 꾸준히 소득을 올리면 경기가 회복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그만큼 물가성장에 대한 부담을 잠재울 수 있다.
다만 완전 고용은 사실상 힘든 만큼 연간 실업률 4%가 미국 연준이 세운 목표다. 물가 억제를 위해 모든 수단을 강구하겠다는 미국 입장에서는 고용지표에 촉각을 곤두세울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실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달 FOMC회의 이후 성명을 통해 "인플레이션이 목표인 2%를 훨씬 상회하고 있지만 노동시장은 견고해 지고 있다"며 고용시장의 회복이 인플레이션 압력을 낮추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특히 인플레이션 압력 해소를 위해 정책금리 인상을 준비하고 있는 연준 입장에서는 고용이 지속 회복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해야 한다.
1월 고용지표가 호조를 보일 경우 미국이 3월에 정책금리 인상에 나설 것이란 근거는 더욱 견고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1월 FOMC에서 제롬 파월 의장은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종료를 3월에 끝낼 것을 시사함과 동시에 같은달 정책금리 인상에 대한 신호도 명확히 보냈다.
이처럼 1월 고용지표가 미국의 정책금리 인상에 대한 근거가 되는 만큼 이는 세계금융시장에도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도 나온다.
미국 고용지표의 회복은 곧 세계적인 긴축의 시작을 시사하는 것이나 다름 없기 때문이다. 시장에 풀리고 있는 유동성이 본격적으로 줄어드는 만큼 전 세계 금융시장, 특히 증권시장의 하락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란 얘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