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서민 경제 지원을 위해 대출 규제를 순차적으로 완화하기로 했지만 '그림의 떡'이다. 지난해 8월을 기점으로 기준금리가 빠르게 올랐고 올 연말까지 적어도 서너번 이상 추가 인상이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6%가 넘어섰고 향후 기준금리 상승을 감안하면 8%를 웃돌 가능성이 제기된다. 신용대출 역시 4~5%에 금리가 형성돼 이자 부담이 갈수록 커질 전망이다.
신규 대출을 일으키려는 금용 소비자들 입장에선 0.1%포인트라도 금리 혜택을 얻을 수 있는 상품을 찾아야 하는 상황이다. 이미 대출을 받은 차주들은 대환대출 등을 결정할 때 금리 비교를 통해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대출금리, 1년 전보다 두 배 껑충
금융권에 따르면 주요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는 4% 중반에서 6% 중반 정도에 형성돼있다. 지난해 같은기간 시중은행 평균 주담대 금리 2.75%(은행연합회)와 비교하면 두 배 이상 올랐다. 신용대출 금리 역시 작년(약 3.85%)보다 1%포인트 정도 높은 4% 후반에서 5% 중반 수준이다.
금리 상승은 대출이자 부담으로 이어진다. 새 정부가 생애최초 주택구매자에 대해 소재 지역, 가격에 상관없이 LTV(주택담보인정비율)를 80%까지 완화해 대출 가능금액은 늘어나지만 급증한 이자부담을 소화할 수 있는 대출 차주들은 많지 않은 게 현실이다.
가령 지난해말 기준 수도권 아파트 중위가격인 7억7000만원짜리 주택을 매입하기 위해 금리 5.6%로 주담대 6억원을 받는다고(LTV 80% 적용시 6억2000만원 가능, 총 대출한도 6억원 제한)하면 매달 상환해야 하는 원리금은 344만원(30년만기, 원리금 균등상환)에 달한다.
같은 금액을 1년전 금리(2.75%)로 대출 받았을 때 부담해야 하는 월 상환액이 245만원 수준임을 감안하면 100만원 가량 부담액이 증가한 셈이다.
생활 안정을 위한 주담대도 마찬가지다. 정부는 긴급생계용도 주담대의 경우 개별 대출기관 여신 심사위 승인 아래 1억원 한도로 DSR 적용 대상에서 제외하고, 한도를 1억원에서 1억5000만원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이 역시 이자부담이 크다는 점에서 서민들 접근이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정부도 "금융회사 스스로 차주의 상환능력을 철저히 심사하고 적합성 원칙을 준수해 대출을 취급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이와 관련 한 은행 관계자는 "최근 금리 상황을 보면 소득증가 대비 금용비용 증가 폭이 워낙 커서 향후 채무상환능력이 갈수록 떨어질 수 있다"며 "대출규제 완화 정책이 금리 인하기에 도입되면 좋겠지만 현 시점(금리 인상기)에선 실효성이 상당히 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자부담 낮출 전략은
이처럼 금리 인상에 이자 부담이 급증하고 있는 만큼 금용 소비자 입장에선 이자 부담을 최대한 낮출 수 있는 상품을 찾아야 한다.
특히 지난해까지 지속된 부동산 시장 과열 등으로 '영끌'(영혼까지 끌어온 대출)을 통해 주택을 매입한 차주들은 급증하는 이자에 부담이 크다. 이런 이유로 변동금리 상품을 이용한 차주들은 고정금리 갈아타기 등을 고민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금융권에선 대환대출은 신중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신규 대출 금리 자체가 워낙 높은 까닭이다.
시중은행 여신 담당 관계자는 "저금리 시기에는 은행들이 대출자산을 늘리기 위해 가산금리를 낮추는 등 금리 경쟁을 펼쳤던 만큼 지금의 대출 상품보다 금리 메리트가 더 높다"며 "코픽스 금리 등이 오르면 지금보다 부담은 늘어나겠지만 갈아타기보다 기존 대출을 유지하는 게 더 낫다"고 설명했다.
금리 부담에도 주택 매입 등 대출을 이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정부의 정책 금융 상품 등을 반드시 살펴야 한다는 조언이다. 또 신용대출을 받았다면 신용등급 관리를 통해 금리 인하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도 확인해야 한다.
이 관계자는 "주택을 매입하려면 대출 받기 전 소득 등 정책금융 상품을 이용할 수 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며 "신용대출의 경우 금리 인하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에 따라 이자 부담을 조금이라도 덜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