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CEO 연봉은 달랐다. 경영 악화를 이유로 급여를 반납한 곳이 있는가 하면 대규모 손실에도 불구 CEO는 거액의 연봉을 받은 곳도 있다. 또 퇴직한 전임 사장에게 수십억원의 연봉과 퇴직금을 안긴 곳도 있다.
31일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조선 3사가 제출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각 업체별 작년 CEO 연봉은 천차만별이었다. 현대중공업의 경우 작년 경영난을 이유로 등기 이사 중 연봉 5억원이 넘는 사람은 단 한명도 없었다. 작년 현대중공업 최고 경영진들은 회사의 경영 정상화가 이뤄질때까지 급여를 반납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http://cdn.bizwatch.co.kr/news/photo/2016/03/31/0d0087052147e1dc3201592e82509707173724.jpg)
반면 삼성중공업의 경우 작년 1조5000억원의 손실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CEO에게 10억원이 넘는 연봉을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대영 삼성중공업 사장은 작년 총 10억5300만원을 수령했다. 급여는 7억4800만원이었으며 상여금은 2억9100만원이었다, 여기에 기타 근로소득 1400만원도 받았다.
전태흥 삼성중공업 이사도 급여 5억4000만원에 상여금 1억8000만원, 기타소득 1800만원 등 총 7억3800만원을 받았다.
작년 대규모 손실에 채권단의 지원까지 받은 대우조선해양의 경우에는 전임 사장에게 20억원이 넘는 금액을 지출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작년 고재호 전 사장에게 총 21억5400만원을 지급했다. 급여 2억1100만원에 상여금 1억3300만원, 기타 3억500만원이었다. 여기에 퇴직금 15억500만원이 추가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