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수소환원제철, 완전히 초기…대대적 지원 필요"

  • 2021.06.02(수) 11:16

이재윤 산업연 연구위원 '그린철강' 인터뷰
"비용이 가장 큰 장애…규제완화도 필요"

제조업 중 가장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는 철강업계가 '탄소배출 제로'를 선언하고 있다. 그 중심엔 석탄 대신 수소를 환원제로 사용하는 수소환원제철이 있다.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은 이 기술을 통해 제철 과정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0'으로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2일 이재윤 산업연구원 소재산업실 연구위원과의 질의응답을 통해 수소환원제철을 알아봤다. 

/그래픽=유상연 기자 prtsy201@

- 온실가스 감축수단으로 수소환원제철이 떠오르고 있다. 간단하게 설명한다면.

▲ 철강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먼저 쉽게 설명해드리겠다. 철은 철광석에서 나온다. 철광석은 철과 산소로 이뤄져 있는데 산소를 떼어내야 한다. 기존 방식은 석탄을 이용해 산소를 떼어냈다. 탄소로 이뤄진 석탄과 산소가 결합하게 되는데 여기서 바로 온실가스 주범인 이산화탄소가 나오게 되는 것이다. 철 1톤(t)을 생산하는데 석탄 0.7톤이 투입된다.

지금 철강 산업에서 철을 생산하는 방식은 고로방식과 전기로 방식으로 크게 두 가지다. 고로방식은 용광로 스타일이고 전기로 방식은 전기를 사용해 철을 생산한다고 보면 된다. 전기로는 석탄을 쓰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나 만들 수 있는 품목이 제한되어있다는 게 한계다. 그래서 수소환원제철이 미래기술로 대두되고 있다. 철광석에 석탄 대신에 수소를 집어넣고 철이 만들어지면 수소와 산소가 결합해 물이 발생하게 되므로 친환경적이다.

- 현재 기술이 어느 정도 개발된 단계인가.

▲ 사실상 완전히 초기 단계다. 철강 산업이 발전한 유럽에서 현재 실험적으로 하고 있는 수준에 불과하다. 

- 한국이 유럽에 비해 수소환원제철 전환에 힘든 점이 있다면.

▲ 유럽은 국내에 비해 철강 역사가 오래됐다. 수명이 다 됐거나 노후화된 장비들이 많아 새롭게 설비를 깔아야 하는 상황이다. 이 시기에 수소환원제철 관련 기술을 시도하는 거다. 하지만 역사가 짧은 국내 철강 산업은 수소환원제철을 시도하기 위해선 멀쩡한 기존 설비들을 다 바꿔야 한다. 기업입장에선 리스크가 클 수밖에 없다.

- 기술 개발에 장애요인이 있다면.

▲ 비용, 즉 다시 말해 경제성이다. 우리나라가 수소 전환을 통해 철강 산업을 이어가기 위해선 전기를 통해 철을 생산하는 방식이 되어야 한다. 근데 전기 비용이 만만치 않을 것이다. 이윤을 창출해야 하는 기업 입장에서 비용은 가장 큰 고려사항 중 하나일 수 밖에 없다.

- 최근 P4G 서울정상회의도 열렸다. 환경단체들과 기업들이 제시하는 온실가스 감축이 현실적으로 가능하다고 보는가.

▲ 힘든 상황인 건 맞다. 앞서 말했듯이 기술개발이 완전히 초기 단계다. 이는 기술개발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는 얘기다. 기업은 불확실성을 가장 싫어한다. 불확실성은 정부가 방향을 제시해 해소해 줄 필요가 있다. 정부가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하고 지원 방향 등 구체적 사안에 대해 제시해야 한다. 현재는 기업이 많은 부분을 스스로 해결하는 상황인데 정부가 적극적으로 친환경 기술 개발을 하는 기업에 대해 지원과 투자를 아끼지 않았으면 좋겠다. 

- 정부의 역할에 대해 더 자세히 말해줄 수 있나.

▲ 탄소중립과 수소경제 전환은 철강사뿐만 아니라 국가 전체에 도움이 된다. 그러므로 민간과 정부가 공동으로 추진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수소뿐만 아니라 에너지 효율을 위한 정부의 대대적인 지원도 필요하다. 수소경제 혹은 탄소중립은 당장 달성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다. 중·단기적으로 계획을 짜고 투자를 했으면 좋겠다. 에너지 공급계획을 선명하게 발표할 필요가 있다. 규제완화도 필요하다. 규제가 너무 많아 기업에 과도한 부담을 주고 있다. 배출권 거래제, 탄소세 도입, 미세먼지 규제 등 하고 있거나 하려고 하는 규제들이 너무 많다. 규제는 필요하지만 합리적 기준에서 규제가 필요하다.

- 기술 개발에 대한 금융권의 지원도 필요해 보인다. 어떤 식으로 지원하는 게 맞나.

▲ 철강기업은 무조건 오염물질 배출기업이라는 인식이 있다. 그래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점수도 낮고 녹색채권에 대한 불이익을 받는 경우도 있다. 철강산업은 그동안 탄소를 많이 배출해온 사업분야라 저탄소 실현 혹은 탄소중립 실현에 불리한 상황이다. 그만큼 더 많은 변화와 지원이 필요하다. 그런 부분을 감안하고 금융지원이 이뤄졌으면 좋겠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