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수소차 '5만대 시대' 목전…"인프라 확대·공급망 안정 시급"

  • 2025.04.28(월) 14:37

올해 수소전기차 등록대수 5만대 돌파 전망
정부 지원 절실…에너지 통합관리 필요성 대두

지난 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5서울모빌리티쇼'에서 공개된 현대차의 '디 올 뉴 넥쏘'./사진=이명근 기자 qwe123@

올해 국내 수소전기차 보급대수가 5만대를 넘어설 전망이다. 올 초 환경부가 7000억원대의 구매보조금을 조기 확정된 데다, 현대차가 신형 수소전기차(FCEV) '디 올 뉴 넥쏘' 출시를 앞두고 있어서다. 

이에 업계에서는 수소전기차 생태계에 대한 국가 및 지자체 차원의 지원이 시장 성장세와 발을 맞춰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시장이 안정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수소충전 인프라 확대와 수소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국가 차원의 대응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올해 '5만대 시대' 열린다

3월말 기준 국내 수소전기차 누적 보급대수는 3만9216대로, 4만대 돌파를 목전에 뒀다. 업계에서는 올해 수소전기차 보급대수가 5만대를 넘어설 것으로 보고 있다. 

/그래픽=비즈워치

빠른 성장이 기대되는 가장 큰 이유는 7년 만에 공개된 완전 변경 모델 '디 올 뉴 넥쏘' 출시다. 현대차는 이달 초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신형 수소전기차 '디 올 뉴 넥쏘'를 세계 최초 공개한 바 있다.

넥쏘는 지난 2018년 현대차가 수소전기차 전용모델로 개발한 차량으로, 현재 국내 수소전기차 시장의 핵심 모델이다. 국내 수소전기차 시장은 현대자동차가 지난 2018년 승용 수소전기차 '넥쏘'를 출시하며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출시 2년 만인 2020년에 누적 보급대수 1만대를 넘어섰고, 2만대를 돌파하기까지 2년이 채 걸리지 않았다.

현재 국내 보급된 수소전기차 중 승용 수소전기차는 3만7227대로 국내 수소전기차의 94.9%가 승용모델이다. 이중 현재까지 넥쏘 누적 보급대수는 3만7020대로 승용 수소전기차 중 99.4%가 넥쏘다. 전체 수소전기차 기준으로도 넥쏘의 비중은 94.4%에 달한다. 올 상반기 디 올 뉴 넥쏘 출시 이후 승용 수소전기차 보급 대수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다.

정부가 올 초 빠르게 수소전기차에 대한 보조금을 확정한 것도 시장 확대에 긍정적인 요인 중 하나다. 환경부는 올 1월 승용차 1만1000대, 수소버스 2000대에 대해 7218억원의 구매 보조금을 조기 확정한 바 있다. 

정부의 예상대로 수소전기버스 2000대 보급이 완료되면 수소전기버스의 확대도 기대되는 상황이다. 수소전기차는 1회 충전 주행거리가 길어 장거리 운행에 유리해 도시 간 광역버스, 시내버스, 기업 통근버스, 관광버스 등으로 공급이 확대되는 추세다. 

특히 올 1월 환경부는 원더모빌리티, 삼성물산(에버랜드), 효성하이드로젠, 현대자동차 등과 '수소 통근버스 도입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수소전기버스 생태계 확산에도 적극 나서고 있어 보급 증가는 지속될 전망이다.

수소 생태계 커지는데…

업계에서는 '수소전기차 5만대 시대'를 앞두고 생태계 구축을 위한 국가차원의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본격적으로 수소전기차가 확대되기 전, 선제적으로 도심지역 충전소를 확충해 충전 편의성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전국에 설치된 수소충전소는 4월 말 기준 총 218개소다. 지역별로는 경기가 38개소로 가장 많고, 서울에는 여의도 국회의사당 정문과 서울시 서소문청사, 서초구 양재동, 강동구 상일동, 강서구 마곡동 등 9곳에 불과하다.

업계 관계자는 "수소전기차가 5만대를 넘어 대중화 초입단계까지 진입하려면 이용자들이 일상생활에서 내연기관 차량처럼 원활하게 수소전기차를 운행할 수 있도록 도심 충전소 확충이 필요하다"며 "전국 관공서와 정부기관에 수소충전소를 설치하는 등 정부와 지자체 차원에서 충전사업자에 대한 지원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짚었다.

또 수소전기차의 경제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수소 공급망의 총괄적 관리도 시급하다. 수소전기차 보급이 활성화되려면 수소 생산·수입에서부터 수송, 유통에 이르기까지 수소 공급망 안정화가 선행돼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일각에서는 수소 역시 전기나 도시가스처럼 국가차원에서 통합 관리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된다. 수소와 수소전기차 수요 확대에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국가차원의 수소에너지 전담 기관을 신설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현재 국내 수소 유통망 관리는 산업부와 한국석유관리원, 한국가스공사 등 여러 부처와 기관에서 담당하고 있다. 수소에너지 가격 안정화를 목적으로 공급망 전체를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전담 기관은 없는 상태다.

이에 비해 미국은 에너지부(DOE)에서 수소 관련 정책 수립 및 연구개발, 민관 협력사업 등을 담당하고 있고, 일본은 경제산업성 산하 자원에너지청에서 수소 정책을 실질적으로 총괄하고 있다. 중국도 국가에너지국에서 수소 포함한 신에너지 정책 전반을 총괄한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현재는 외부 충격 시 공급 불안정성과 수소 유통단가가 큰 폭으로 흔들릴 가능성이 구조적으로 존재한다"며 "수소에너지 공급망이 안정되지 않으면 국내외 수소 수급환경에 따라 수소 공급이 불안정해지고 수소 가격은 요동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수소전기차 보급은 물론 수소경제 확산에 상당한 장애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
  • 오늘의 운세
  • 오늘의 투자운
  • 정통 사주
  • 고민 구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