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시기가 6월에서 7월로 미뤄지고 올해 금리 인하 횟수도 기존 4회에서 2회로 줄어들 것이란 증권가 전망이 나왔다. 연준이 제시한 물가 전망치는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고용 부문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8일 보고서를 통해 "연준이 6월부터 네 차례 금리 인하를 단행할 것이란 기존 전망을 조정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금리 인하 전망 시기를 늦춘 이유는 고용 부문의 불확실성 때문이다. 금리 인하를 위해서는 안정적인 물가와 고용률이 뒷받침돼야 하지만 고용 부문의 불확실성 탓에 금리 인하 시기가 미뤄질 것이라는 설명이다.
강 연구원에 따르면 연초 이후 미국 신규 취업자 수를 시장 전망치를 활용해 'Z-Score 방식'(표준점수 또는 표준화 점수)으로 분석한 결과 △1월 3.9 △2월 2.6 △3월 3.7을 기록했다. 'Z-Score'가 ±2 이내이면 안정적으로 평가하며 0에 가까울 수록 우수한 점수다. 결과적으로 1~3월 미국 고용 점수가 불안정했다는 의미다.
강 연구원은 "통계적으로 보면 사실상 불가능한 숫자가 연속적으로 발표된 것"이라며 "최근 합법, 불법 이민자 수가 급증한 것이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향후 이민자 유입이 얼마나 많이 또 오래 지속될지 알기 어렵고 불법 이민자를 포함한 이민자 수 전망은 연준이 예측할 수 없는 이슈"라고 설명했다.
4월 고용률이 발표된 후 금리 인하 여부를 결정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보통 금리 인하 직전 달에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관련 신호를 보내곤 하지만, 4월 고용률은 5월 FOMC 직후 발표한다. 이에 강 연구원은 "5월 FOMC에서 인하와 관련된 힌트를 제공하는 것은 사실상 어려워졌다"고 평가했다.
다만 7월 이후로 미뤄지기는 어려울 것이란 설명이다. 그는 "11월 미 대선 일정을 감안하면 선거 직전 회의인 9월 인하 사이클로 전환을 공표하는 것도 연준 입장에선 정치적인 부담"이라며 "연준은 7월 금리 인하를 시작한 뒤 대선 전까지 동결 기간을 갖고 대선 이후인 12월 추가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고 예측했다.
즉 7월과 12월 두 차례에 걸쳐 미국 기준금리 인하가 예상된다는 설명이다.
강 연구원은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횟수 전망 조정에 따라 한국은행 금리 인하 시나리오도 조정했다. 그는 "2월 금융통화위원 당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미국이 인하를 시작하거나 신호가 있을 경우 각국이 차별화된 정책이 가능하다'고 말했다"며 "이를 감안하면 이번주 예정된 금통위에서 금리인하와 관련된 신호를 보내기 시기상조이고, 한국은행은 관망세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훈 유진투자증권 연구원도 노동 시장 둔화를 이유로 6월 미국 기준금리 인하가 어려울 수 있다고 짚었다. 그는 "최근 고용 증가 폭은 확대했지만 △구인율·채용률 하락 △파트 타임 취업자 증가 △임금 상승률 둔화 등으로 노동 시장이 둔화하고 있다"며 "지금 정도의 고용 상황이라면 6월 FOMC 전까지 물가 데이터가 한 번만 높게 나오더라도 6월 금리 인하는 어려워질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