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블록체인 대중화]②그들이 '해외파'인 이유

  • 2019.03.27(수) 14:45

국내보단 외국에서 사업 기반 다져
규제 피하고 글로벌 확장성 노림수

올해는 블록체인 대중화 원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전자, 페이스북, 텐센트, 카카오 등 국내외 테크(Tech) 대기업들이 블록체인 기반 비즈니스 모델 개발과 사업화에 본격 착수하면서다. 스마트폰, SNS, 쇼핑 등 다양한 영역에서 플랫폼 파워를 자랑하는 이들 사업자 중심으로 블록체인 관련 서비스 경험이 증가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같은 상황을 분석하고 국내 사업자의 대응 전략을 살펴본다. [편집자]

◇ 외국서 블록체인·가상화폐 사업

국내 1위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을 서비스하는 카카오는 작년 3월 자본금 200억원을 들여 블록체인 계열사를 총괄할 지주회사인 카카오G를 일본에 설립했다. 카카오G는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을 개발하는 그라운드X도 일본에 세웠다.

한국이 아닌 일본에서 블록체인 관련 사업을 벌인 공개된 이유를 정리하면 ▲일본이 글로벌 사업의 주요 거점이고 ▲콘텐츠 지적 재산권(IP)과의 시너지 효과를 노린다는 것이다.

한재선 그라운드X 대표는 "카카오에는 블록체인을 하기 좋은 디지털 자산이 많다"며 "음악, 웹툰 같은 IP와 소셜 네트워크, 커뮤니티, 게임 등 카카오의 서비스와 블록체인을 연결할 여지가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카카오의 작년 4분기 웹툰·웹소설 등 유료 콘텐츠 매출은 전년보다 55%나 증가한 739억원을 기록했는데, 이는 카카오재팬의 웹툰 플랫폼 픽코마의 급격한 성장에 힘입은 것이다.

네이버 역시 일찌감치 외국에서 기회를 찾고 있다. 네이버는 작년 일본법인 라인을 통해 가상화폐 거래소 비트박스와 가상화폐 링크 등을 싱가포르에서 오픈한 바 있다.

◇ 외국에 숨어서 국내 대중화 가능할까

네이버와 카카오가 한국보다 시장 규모가 큰 외국에서 기반을 다져 글로벌 시장에서 성장할 가능성을 엿보고 있다는 점은 충분히 이해된다. 그러나 검색포털과 모바일 메신저로 성장한 이들의 서비스 기반 대부분은 국내에 있는 것이 사실이다. 외국에서 일을 벌이면 기존 사업 역량을 제대로 살리기 어렵다는 얘기다.

이런 까닭에 가상화폐 공개(ICO)가 사실상 금지됐으며 보이지 않은 규제가 도사리고 있는 국내보단 해외에서 사업을 시작하는 등 숨어서 기반을 다지는 게 유리하다고 판단한 것으로도 풀이 가능하다.

사업자 입장에서 규제 관련 불확실성이 크면 과감한 경영판단을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삼성전자의 경우 지난달 공개한 프리미엄 스마트폰 갤럭시S10에 가상화폐 저장 기능을 탑재해 세계적 주목을 받으면서도 해당 기능이 있다는 사실 자체를 적극적으로 알리지 않았는데, 이 역시 국내 규제 환경을 의식한 것이란 해석이 나온 바 있다.

정부의 규제 방향성은 어떨까. 지난 25일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 일부 국회의원을 중심으로 '블록체인 진흥 및 육성' 관련 법안이 발의되면서 우호적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으나, 정부는 여전히 조심스러운 모습이다.

최근 정부는 블록체인 기반 해외송금 서비스를 ICT(정보통신기술) 분야 규제 샌드박스 심의 대상에서 제외했다.

내달 시행 예정인 금융 규제 샌드박스에서 금융위원회 등 관계부처들과 논의해 처리한다는 방침이나, 1월에 접수된 안건이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불확실성은 여전하다.

국내 사업자들이 외국에서 사업 가능성을 타진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성과를 거둔다면 나쁠 것이 없겠지만, 국내 환경이 긍정적으로 바뀌지 않는다면 국내 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는 블록체인 대중화는 멀어질 수밖에 없다.

업계 고위 관계자는 "블록체인과 가상화폐에 대한 관심이 떨어질까봐 걱정된다"며 "관심이 떠나면 개발자도 모이기 어렵고 사업 추진과 성공도 불투명하다"며 정부 규제 개선을 촉구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