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정보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취약층을 대상으로 한 교육은 많이 이뤄지고 있으나 일회성에 그치거나 언제 어디에서 열리는지 확인하기 어려웠습니다.
이에 정부는 올해 하반기부터 디지털 교육 체계를 재정비했는데요. 한층 업그레이드된 디지털 교육을 누구나 쉽게 집 근처에서 받을 수 있고, 맞춤형 교육이 가능해진 것이 특징입니다.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디지털 교육 사업의 현황을 알아봤습니다.
집 근처 1000곳에 마련된 '디지털 배움터'
정부는 국민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해 연내 집 근처 생활 사회간접자본(SOC) 1000곳을 '디지털 배움터'로 선정하고 디지털 서포터즈 4000명을 채용한다고 지난 6월 발표했습니다.
디지털 배움터는 현재 1000곳을 넘어 목표를 달성했습니다. 아울러 디지털 서포터즈는 지금까지 3500명 정도 채용됐는데요. 지역별 채용 프로세스가 완료되는 이달 말이면 목표치인 4000명을 채울 것으로 보입니다.
디지털 배움터란 전국에 있는 주민센터나 도서관, 복지관 등을 선정해 디지털 교육을 진행하는 교육 장소입니다.
디지털 교육뿐 아니라 일상적인 디지털 활용에 어려움을 느낄 때 언제든 찾아와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센터마다 강사 2명과 서포터즈 2명을 배치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교육을 원하는 국민 누구든지 쉽게 집 근처에서 디지털을 배울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의 일환이죠.
디지털 배움터는 '디지털배움터' 홈페이지에서 지역별로 디지털 배움터가 있는 곳을 지도를 통해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했습니다. 원하는 디지털 배움터를 지정해 원하는 교육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일부 지자체에선 '찾아가는 교육' 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충북 괴산군은 '디지털 배움터 버스'를 운영하고 있는데요. 장소와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디지털 소외 계층을 직접 찾아가 최신 디지털 기기와 키오스크 등을 체험해볼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민성준 한국정보화진흥원(NIA) 디지털포용기획팀장은 "집 근처에 디지털 배움터가 있더라도 찾아오기 힘들거나 처음 방문하기 부담스러워하는 경우도 있어서 충북에는 디지털 배움터 버스를 도입했는데 반응이 좋다"고 말했습니다.
버스 안에서 기본적인 교육을 받고 디지털 배움터의 정식 교육으로 전환하는 사례도 많다고 하네요.
수준별·맞춤형 교육도 가능
디지털 교육이라고 해서 단순히 스마트폰 사용법을 설명하는 수준에 그치진 않습니다. 교육 과정은 크게 ▲디지털 기초 ▲디지털 생활 ▲디지털 중급 ▲특별 교육 등 4가지로 나뉘는데요.
이 가운데 '디지털 중급'은 디지털 활동을 통해 경제 및 사회 활동과 직접 연계되거나 일정 수준의 결과물을 만들 수 있는 수준의 교육을 합니다. 특별 교육은 1인 미디어, 신기술 체험(3D프린팅, 드론, 코딩, AI, 데이터 전처리 등)과 같이 꽤 난이도 있는 과정입니다.
또 코로나 확산으로 인해 배움터를 열지 못하는 기간에는 일대일 방문형 교육으로 전환해 진행했습니다. 자연스럽게 눈높이 교육이 되다 보니 교육을 받는 사람들의 만족도가 높다는 평가입니다.
민 팀장은 "모바일 교육만 좋아할 줄 알았는데 1인 유튜버 되기, 영상 편지 만들기 등 다양한 교육에 대한 수요도 많았다"고 설명했습니다.
기존에는 디지털 강사 교육 위주였지만 이번 디지털 포용 정책에는 서포터즈의 역할도 중요해졌습니다.
강사가 교육하면 서포터즈가 교육을 받은 어르신을 계속 코치하는 역할을 합니다. 교육을 받더라도 교육 내용이나 사용 방법을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은데, 계속 활용할 수 있도록 옆에서 도움을 드리고 다음 교육 단계도 수강할 수 있도록 지속해서 알려드리는 역할입니다. 일회성 교육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디지털 활용이 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역할이죠.
디지털은 끊임없이 변하기 때문에 단기 교육보다는 지속해서 이끌어 갈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합니다. 또 디지털 기기나 디지털 서비스는 워낙 다양해졌기 때문에 누구에게나 동일한 내용의 교육은 이제 효율성이 낮아졌죠. 그러한 면에서 맞춤형 교육과 서포터즈의 역할은 더욱 눈에 띄는 변화입니다.
민 팀장은 "과거에도 디지털 교육이 있었지만 전국 30여곳의 복지관을 활용하거나 단기적인 교육이 많았고 아는 사람들만 교육을 받는 정도였다"면서 "이번에는 디지털 교육을 전국적으로 확대하면서 연속 가능하고 교육을 원하는 사람들은 언제 어디서든 받을 수 있는 체계를 만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편리했던 디지털의 역설, '디지털, 새로운 불평등의 시작'
http://www.bizwatch.co.kr/digitaldiv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