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접출점과 잦은 기계 교체로 매장 수천개가 문 닫았다. 인정합니까?(민병두 더불어민주당 의원)
그렇게 부도덕하거나 무책임한 회사가 아닙니다.(김영찬 골프존유원홀딩스 대표)
골프존이 갑질논란에 휩싸이면서 난타당했다. 지난 17일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의 국무조정실 국정감사장에서다. 민병두 의원은 "스크린골프는 압축적으로 성장한 시장"이라면서 "이 과정에서 점주에 대한 엄청난 약탈이 있었다"며 비판의 수위를 높였다. 증인으로 참석한 골프존 창업주 김영찬 대표는 여야 의원들의 날 선 질문에 쩔쩔맸다.
골프존 갑질논란은 뿌리가 깊다. 전국골프존사업자협동조합(이하 전골협)은 "미친 갑질에 도산하고 있다"(올 3월 신문광고)고 주장하는 반면 골프존은 '생떼를 쓰고 있다'고 맞서고 있다. 시간이 흐를수록 본질은 흐려지고, 감정의 골은 깊어졌다. 수년간을 끌어온 갑질논란의 옳고 그름은 판단하기 어렵다. 하지만 전날 국감에서 나온 말이 사실인지 아닌지는 따져볼 수 있다.
전날 국감에서 의원들은 "골프존이 가맹점 사업을 추진하면서, 기존 점주들에게서 시스템 업그레이드 비용으로 900만원을 요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김 대표는 "프렌차이즈 가맹사업에 전혀 관여한 바가 없다"는 식으로 답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 그래서 국감이 지난 18일 회사 측에 사실 여부를 물었다.
우선 골프존이 올 8월 가맹사업을 위해 새 프로그램 '투비전'(TWOVISION)을 출시한 것은 '팩트'다. 하지만 가격에 대한 주장은 골프존과 전골협의 입장이 엇갈렸다.
골프존 관계자는 "투비전은 가격대가 사양에 따라 무료, 700만원, 900만원으로 나뉘어 있다"며 "어느 사양을 선택할지는 가맹점주의 판단에 달렸다"고 말했다. 반면 전골협 관계자는 "골프존에 우호적인 점주에게만 공짜로 해주고, 사실상 700만~900만원을 내야한다"고 주장했다.
그 다음 문제는 전골협의 협회원 수다. 현재 골프존과 협상을 벌이는 스크린골프 단체만 8개가 있어, 협회원 수는 대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중요한 지표다.
김 대표는 "현재 스크린골프 단체가 8개나 있어, 한 단체(전골협)의 얘기만 듣고 판단할 수 없다"며 "목소리가 다양하고 복잡해 공동 상생안을 만들어 내기가 굉장히 어렵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전골협에 3000점주가 있다"며 "노동문제 얘기하면서 한노총 빼고 얘기할 수 있냐"고 질타했다.
그러나 '전골협 협회원 수 3000명'은 사실이 아니었다. 전골협 측은 "네이버 '밴드'에 가입된 회원수가 3000명 정도고, 가입비를 낸 정조합원은 950명 정도"라고 설명했다. 골프존 측도 "골프존 점주가 총 4800명인데, 이 중에 3000명이 전골협 회원이라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양쪽의 주장이 엇갈리는 가운데 정확한 팩트는 전골협 사업결산 보고서에 나와 있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기준 전골협 조합원 수는 799명이고, 출자금은 3억5413만원 수준이었다.
799명이 속한 전골협이 대표성을 가지는가 여부는 또 다른 문제다. 전골협 관계자는 "우리가 최대 조직이고, 부산과 경남 쪽 단체는 어용 조직"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김 대표는 "어떤 단체(전골협)는 다른 사람들을 어용이라 하고, 자기하고만 얘기하자고 한다"며 "8개 단체와 공동 상생안을 만들어 내기가 굉장히 어렵다"고 말했다.
몇 가지 팩트 체크로만 봐도, 꼬일 대로 꼬인 문제는 쉽게 풀리지 않을 듯 싶다. 게다가 전 국민이 지켜보는 국감장에서 틀린 사실이나 한쪽의 일방적인 주장을 전달하는 것은 또 다른 오해를 낳아, 문제를 더 어렵게 만든다. 스크린 골프는 십여년 만에 2조원대 시장으로 성장했다. 미국 등 골프 강국도 탐내고 있다. 억측과 주장에 현혹되지 않고, 사실에 근거해 문제를 푸는 것이 우선이다. 그래야 '벙커'에 빠진 스크린골프 사업이 되살아 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