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이나 교육활동 혹은 구직활동도 하지 않고 '그냥 쉬는' 청년층 인구가 올해 큰폭으로 늘어났다. 10명중 3명이 청년층으로 조사됐다.
일본의 경우처럼 '니트족(NEET·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이 급증하면서 향후 노동공급을 약화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한국은행이 2일 공개한 '청년층 쉬었음 인구 증가 배경과 평가' 보고서에서 이수민 한은 고용분석팀 과장과 오삼일 팀장은 이같은 분석을 내놨다.
'쉬었음' 인구는 비경제활동인구 중 특별한 사유나 교육훈련 없이 노동시장에 참여하지 않는다. 쉬었음 인구는 팬데믹 당시 등락을 보인 이후 올해 들어 큰폭의 증가세를 나타냈다.
증가세를 주도하는 층이 청년층(25~34세)이다. 청년층 쉬었음 인구는 지난해 3분기 33만6000명(22.7%)에서 올해 3분기 42만2000명(29.5%)으로 1년새 25.4%나 늘어났다.
이들을 취업경험 유무로 나눠 살펴보면 최근 늘어난 쉬었음 증가는 대부분 취업경험이 있는 청년층에서 나타나고 있다. 취업을 경험한 이후 더 이상 구직을 하지 않고 쉬었음으로 이탈한 사례가 늘어났다고 분석했다.
특히 보고서는 "청년층에서는 자발적으로 쉬는 경우가 비자발적인 경우보다 높고 추세적으로도 증가하고 있다"며 "이는 일자리 미스매치 등 구조적 요인에 기인한다"고 풀이했다.
청년층은 핵심연령층(35~59세)보다 교육수준이 높고 일자리를 자발적으로 선택하는 경우가 많아 일자리 선택의 기준이 높은 것으로 추정했다.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 쉬고 있는 비중도 청년층(32.4%)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결국 눈높이에 맞는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한 미스매치 현상은 청년들이 자발적으로 노동시장을 이탈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보고서는 "청년층의 쉬었음 상태가 장기화되면서 이들이 노동시장에서 영구이탈하거나 니트족화 될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청년층 쉬었음 증가는 향후 노동공급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이들을 다시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일본의 경우 청년 고용시장 악화가 청년층 쉬었음 인구 증가로 이어졌다. 청년 니트족의 경우 노동시장으로 재진입하지 못하고 니트족으로 머무르며 장기적인 문제를 유발했다. 2000년대 초반 나타난 청년 니트족 증가는 시차를 두고 핵심연령 니트족 증가로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