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부산항만공사, 2500만TEU 목표로 세계 2위 환적항 굳히기 나선다

  • 2025.01.15(수) 16:15

글로벌 환적항 경쟁력 강화 위한 디지털 전환
기후 위기 대응·지역 경제 활성화 사업 추진

부산항만공사(BPA)가 올해 컨테이너 물동량 2500만TEU 달성하고 세계 2위 환적항으로서의 위상 굳히기에 나선다. BPA는 15일 2025년 주요 업무계획을 발표하고 스마트 항만 구축과 항만물류 디지털 전환 강화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그래픽=비즈워치.

BPA는 이를 위해 MSC 등 글로벌 주요 선사와의 마케팅을 강화하고, 지난해 4월 개장한 국내 최초 완전 무인 자동화 부두(서‘컨’ 2-5단계)의 확장과 진해신항 건설을 통해 스마트 항만 인프라 확충에 집중할 예정이다.

아울러 신항 운영사 간 자발적 통합을 지원하는 각종 정책을 통해 글로벌 환적 거점항만으로서의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BPA는 환적화물 운송 효율성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플랫폼 구축에도 본격적으로 나선다. 실시간 환적 모니터링 시스템(Port-I)과 부두 간 환적운송시스템(TSS)을 활용한 물류 흐름 개선을 통해 스마트하고 효율적인 물류 환경을 구축할 방침이다. 

부산항의 디지털 전환 사업 일환으로 도입된 항만형 하이패스 E-slip은 지난해 1만5000명이 넘는 이용자를 기록했다.

BPA는 기후 위기 대응하기 위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한다. 육상전원 공급설비(AMP)와 저속운항 선박 지원, 저공해 야드 트랙터 도입, 친환경 선박 연료 공급을 위한 벙커링 저장기지 구축 등 탄소 제로를 목표로 한 환경 개선에 집중할 예정이다.

부산항 전경./사진=부산항만공사 제공.

BPA는 해외 물류 거점의 확장과 글로벌 해양관광 거점으로 도약을 위한 노력도 지속한다. 네덜란드 콜드체인 물류센터 운영을 통해 국내 기업 수출을 지원하고, 영도 크루즈터미널 시설 개선을 통해 글로벌 관광객을 유치할 계획이다.

BPA는 안전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앞장선다. 테러 위협에 대비한 안티 드론 시스템 구축과 안전시설 구축 지원 제도를 도입해 △중대재해 예방 △해양레포츠 콤플렉스 도입 △마리나 상업시설 운영 등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북항 재개발 지역 공공컨텐츠 확보하고, 신규 일자리 창출을 위한 청년·기업 육성 지원 등 사회 공헌에도 최선을 다할 예정이다.

강준석 BPA 사장은 "국내외 정치, 경제 불확실성 위기에도 불구,  흔들림 없이 주요 사업을 완수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운영사 및 선사, 항운 노조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협력하여 부산항 경쟁력 제고와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