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가 증권업계 근로자들의 업무 부담을 덜기 위해 종가 전송시간 단축을 내달 중으로 실시하기로 했다. 주 52시간 근로제와 관련, 업계 근로시간 축소를 위해 노조가 제안한 주식거래시간 단축안에 대한 대안 차원이다.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이하 사무노동조합)은 18일 국회에서 '증권노동자 장시간 노동시간 해결방안 모색을 위한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권오현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장보는 "종가 전송시간을 최대 1시간10분 앞당기는 안을 내달 중 완결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거래소는 장 종료 후 각종 지수 종가 정보를 산출, 오후 5시30분과 6시10분 두 차례에 걸쳐 증권사 자산운용사 등 관련 업체들에 전송한다. 업체들은 이 지수들을 이용해 ETF ETN 등 상품 평가 업무를 진행한다. 거래소는 이 지수 종가 정보 전송 시간을 최대 오후 5시까지 앞당겨 업체들의 업무 시간 단축에 힘을 보태겠다는 취지다.
이는 사무금융노조가 제안한 증시거래시간 축소안에 대한 대안이다. 사무금융노조는 주 52시간 근로제 실시에 맞춰 증권업계 근로자들의 업무부담을 완화하자는 차원에서 증시거래시간의 30분 축소를 주장하고 있다. ☞관련기사 '[인사이드 스토리]워라밸과 증시 거래시간'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직무별로 받는 영향은 다르겠지만 실제 영업 지점은 종가 정보를 빨리 받으면 실제 업무 시간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2016년 8월 한국거래소는 증시거래시간을 기존 6시간에서 6시간30분으로 30분 연장했다.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하고 투자자 거래 불편을 해소를 위해서다. 특히 홍콩 싱가폴 등 아시아권 주요 시장과 매매 중첩 시간을 강화함으로써 해외 증시 주가변동에 투자자들이 즉시 대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의견이 반영됐다.
권 본부장보는 "2016년 거래소가 제시한 목적은 현재까지 유효하다"며 "종가 전송시간 단축은 증권업계에 숨통을 트이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시가단일가 시간 단축안도 관계자 분들과 검토를 거쳐 확정토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잦은 제도 변경은 글로벌 시장에서 우리나라 시장의 신뢰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김영도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우리나라 증시는 동북아시아 투자 프록시로 많이 사용된다"며 "글로벌 거래를 지향하는 외향적 방향을 지향하는 게 중요한 만큼 제도 변경은 긴 호흡으로 일관성을 갖고 운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연구위원은 이어 "주식 거래 시간 연장이나 특정 주식 매매제도 등 미시적인 제도 변경보다는 증권업 업무 프로세스 근로문화 개선 등을 통해 업무부담을 충분히 완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사무노동조합 측은 전형적인 탁상공론이라는 입장이다. 토론회 말미에서 자신을 증권업계 근무자로 밝힌 한 청중은 "증권업계 근로자 절반 이상은 영업부터 시장분석까지 다양한 업무를 해야 하는 리테일 부문에서 근무한다"며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현실적인 대안을 내놓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종진 한국노동사회연구소 부소장은 "개별 사업장에서는 사전 업무 준비를 위해 최소 1시간에서 2시간 이전에 거래 준비를 해야 한다"며 "이같은 업무 과정은 마감 연장으로 이어져 과도한 정신적 스트레스 등 건강권의 문제까지 연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