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정부 3차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과 5G 공공망 도입, 디지털 포용 사업 등을 포함한 '디지털 뉴딜'을 추진한다.
과기정통부는 3일 서울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정부 3차 추경안 관련 과기정통부 주요 사항을 발표했다.
이번 정부 3차 추경 규모 총 35조3000억원 중 과기정통부는 총 8925억원을 편성받았다. 이 중 ▲디지털 뉴딜 8324억원 ▲K-방역 397억원 ▲민간R&D(연구개발) 지원 204억원이 편성됐다.
정부는 코로나19 이후 당면한 경제 위기 극복 및 포스트 코로나 대응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 한국판 뉴딜을 마련하고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뉴딜을 기획 및 담당한다.
이날 브리핑에서 장석영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디지털 뉴딜은 DNA를 중심으로 한 혁신 생태계 조성, 디지털 포용과 안전망 구축, 비대면 산업 육성, 국가 기반시설의 디지털화를 담고 있다"고 말했다.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
정부는 디지털 뉴딜 중에서도 D.N.A(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생태계 강화에 6671억원으로 가장 많은 부분을 투입한다. 이 중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에 2925억원 ▲AI 데이터 가공 바우처에 489억원 ▲빅데이터 플랫폼·센터 구축에 405억원을 편성했다.
코로나19 이후 경기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는 일자리 창출효과가 크고 AI 모델 개발에 필수적인 AI 학습용 데이터를 150종으로 확대해 구축 및 개방할 계획이다. 또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분석·유통하는 5개 분야별 빅데이터 플랫폼과 연계된 센터를 추가로 50개를 구축할 예정이다.
장 차관은 "제일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이 기계학습 데이터 구축이다"라며 "4차 산업혁명 및 디지털 전환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 AI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지만, 우리는 데이터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았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와 올해까지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을 소규모로 진행했는데 이번에 큰 규모로 구축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5G 정부 업무망 고도화
정부는 비대면 흐름에 대응하기 위해 5G 기반의 정부 업무망을 고도화하고 클라우드로 전환할 계획이다.
그간 5G는 주로 B2C로 개인 소비자 대상으로 서비스가 구축됐지만 B2B는 아직 구체적인 사업 모델이 없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공공 부문에 5G 업무망을 시범적으로 도입할 예정이다. 또 MEC(모바일 엣지 컴퓨팅) 기반 5G 융합서비스도 공공부문에 선도적으로 적용한다. 다만 5G의 핵심인 28GHz는 현재 인프라 구축이 완료되지 않았기 때문에 28GHz 공공부문 도입은 내년이나 내후년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장 차관은 "5G 공공부문 업무망 도입 결과를 보고 모든 기관으로 확산하거나 교육 또는 의료 분야에 활용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라며 "MEC의 경우 현재 학교망으로 VR이나 AR 콘텐츠를 커버하기 힘들지만 학교 주변에 5G MEC를 설치해 VR이나 AR 관련 대용량 콘텐츠를 중앙 서버가 아닌 MEC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5G 기반 공공분야 업무환경 실증 및 선도 적용에 100억원 ▲범부처 협업을 통한 클라우드 혁신 사례 창출에 343억원 ▲신규 수요 창출형 AI 융합 프로젝트(AI+X)에 211억원 ▲AI 바우처에 560억원 ▲5G 융합서비스 발굴 및 공공선도에 400억원 ▲VR·AR 콘텐츠 제작 지원에 200억원을 투자한다.
디지털 포용 및 안전망 구축
디지털 정보 격차 해소를 위한 디지털 포용 및 안전망 구축에도 재정을 투입한다. ▲농어촌 통신망 고도화에 30억6000만원 ▲공공와이파이 품질 고도화 및 확대 구축을 위해 518억원 ▲전 국민 디지털 역량 강화 교육을 위해 600억원을 투자한다.
정부는 국민의 디지털 접근을 넘어 디지털을 통한 일상생활, 경제, 사회활동이 가능토록 기획하는 것이 목표다. 디지털 정보 격차 해소를 위해 누구나 디지털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주민센터 등 생활 SOC(사회간접자본)를 '디지털 교육센터'로 운영해 전 국민을 대상으로 디지털 종합역량교육을 추진할 계획이다.
장 차관은 "이번 온라인 개학을 통해 느낀 점은 디지털 격차가 단순히 EBS 사이트 접속 문제가 아니라 교육 자체를 못 받는 문제로 이어진다는 점이다"라며 "디지털 문제는 단순히 접근이 아니라 기본적인 경제나 일상생활에 위해가 될 것으로 예상하며 예산이 확정되면 최대한 빠르게 하반기에 시행될 수 있도록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K-방역과 민간 R&D 지원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뉴딜 외에도 코로나 19에 효능이 있는 치료제 및 백신 후보 물질이 신속하게 임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동형 클리닉 모듈 시스템과 스마트 감염보호장비, 스마트 진단 등 한국형 방역 패키지를 마련할 계획이다.
또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연구소 400곳의 R&D 활동 유지 및 핵심 연구 인력 고용 유지를 위해 기본연구과제를 지원해 기업 성장동력 단절을 최소화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