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담보대출 금리가 7%로 상승하면 월 대출 상환액이 34%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영끌'로 서울 평균 매매가격인 10억6000만원의 집을 구매하면 매월 261만원을 상환해야 한다는 계산이다. 금리가 4%대였던 지난 4월보다 월 부담이 67만원 늘어나는 셈이다.
13일 직방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 상승에 따른 월 주택담보대출 상환액 가상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서울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을 기준으로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상한까지 받았을 때를 가정했다. 대출기간은 30년, 비거치 원리금 균등상환 방식을 적용했다.
![](http://cdn.bizwatch.co.kr/news/photo/2022/06/13/b67cc13c0a6c355f84b359ae32c4830e.jpg)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에 올해 1월부터 지난 7일까지 신고된 평균 매매가격은 10억6156만원이다. 이 가격의 집을 구매하며 LTV 상한까지 대출을 받으면 대출금은 3억9231만원이다. 이 매매가격이 유지되고 대출금리가 7%까지 상승하면 상환액은 261만원에 이른다.
올해 4월 기준 3.9%의 금리를 적용하면 월 상환액은 187만원인데, 약 34%인 67만원이 증가하게 된다. 금리가 이 중간인 5.5%로 오르면 월 상환액은 223만원이 된다.
아파트 크기별로 보면 금리가 4%에서 7%로 오를 때 월 대출 상환액은 △전용 59㎡ 176만→246만원 △전용 84㎡ 209만→291만원으로 증가한다. 전용 59㎡는 평균 매맷값 9억4604만원·대출금 3억6921만원을, 전용 84㎡는 평균 매맷값 12억8582만원·대출금 4억3716만원을 가정했다.
이같이 월 대출 상환액이 증가하면 가계 부담 또한 커질 수밖에 없다. 직방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금리가 7%일 때 가처분소득 대비 월 주담대 상환액 비율은 평균 62%에 이른다. 작년 기준 도시근로자가구의 가처분소득인 418만9000만원을 적용했다. 금리가 4%일 때는 45%로 월 소득의 절반 미만(45%)이다.
![](http://cdn.bizwatch.co.kr/news/photo/2022/06/13/c4056da812292ea3f8e23b276d6a3fef.png)
직방은 금리 인상이 지속할 경우 아파트 가격이 떨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아울러 가계재무구조를 금리 인상기에 맞춰 재편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직방 관계자는 "소득수준 대비 아파트 금융비용이 가계에 과도한 부담으로 작용하면 구매력 저하로 이어지고, 수요가 감소하면서 거래침체로 연결될 수 있다"며 "아파트 매입수요 감소로 인한 아파트 가격 하락도 예상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시장 변화에 맞춰 주택구매 전략을 세우고 소득에 맞는 금융비용 상환 계획을 살피는 등 보다 신중한 투자가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