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30대 뱅커도 '헤어질 결심'…은행권 연말연초 인력 다이어트

  • 2025.01.07(화) 17:02

은행권 희망퇴직자 규모 전년 대비 늘어
디지털 전환에 점포수 4년 새 700곳 줄어
중장기적 판매관리비 절감·인사적체 해소

국내 주요 은행들의 올해 희망퇴직자 수가 지난해를 뛰어넘을 전망이다. 희망퇴직 대상을 30대까지 확대하고 금전적인 보상을 소폭이나마 늘리며 연말 연초 몸집 줄이기에 한창이다. 비용 절감 및 인사적체 해소 필요성에 더해 디지털 전환이 전보다 빨라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그래픽=비즈워치

7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이 최근 희망퇴직 절차를 진행 중이다.

신한은행과 농협은행은 이미 희망퇴직 절차가 마무리된 상태다. 신한은행은 지난 2일 올해 희망퇴직자 541명을 확정했다. 지난해 234명보다 두 배 이상 늘어난 수준이다. 이 은행은 희망퇴직 대상자를 30대 후반인 1986년생까지 파격적으로 넓혔다. 출생연도에 따라 월평균 임금의 7~31개월분이 특별퇴직금으로 나갔다.

농협은행은 전년 대비 약 20명 증가한 391명이 희망퇴직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최근 희망퇴직 접수를 마무리한 국민은행도 지난해 674명과 비슷하거나 더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민은행도 올해는 희망퇴직 신청자 나이를 기존보다 2살 더 낮춰(1974년 이전 출생자·만 50세) 범위를 확대했다. 또 재취업지원금을 지난해(3400만원)보다 많은 4000만원으로 높였다.

현재 접수 중인 하나은행과 우리은행 역시 올해 퇴직자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두 은행에선 각각 325명과 362명이 옷을 벗었다.

지난해 5대 시중은행 퇴직자는 총 1967명으로 전년보다 15% 가까이 줄었다. 최대 기본급 35~36개월치를 지급하던 특별퇴직금 규모를 31개월로 축소한 게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이자 장사로 퇴직금 잔치를 벌인다는 비판을 의식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올해 특별퇴직금 규모도 지난해와 비슷하다. 하지만 신청대상 범위를 넓히고 특별퇴직금 외 재취업지원금 등을 늘리면서 신청자 증가를 유도한 것으로 분석된다. 금리 인하기가 본격화하면서 희망퇴직 조건이 지금보다 나아지기 어렵다는 불안감도 반영됐다는 평가다.

코로나19 이후 비대면·디지털 전환에 속도가 붙으면서 조직 슬림화 등 은행 필요인력도 주는 추세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며 지난해 3분기 기준 시중·지방·특수은행 등 17곳의 점포 수는 총 5693곳으로 집계됐다. 2020년(6404곳)에 견줘 700곳 이상 없어졌다.

고위직이 더 많은 역피라미드형 조직 구조도 희망퇴직을 확대하는 주요 이유 중 하나다. 중장기적 판매관리비 절감과 세대교체를 노리는 것이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인사 적체 현상을 해소하고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기 위한 인력 효율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