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증권 중심 금융계열 재편 연장선
하이투자증권은 지난 11일 보통주 6000만주를 신주로 발행하는 1200억원 규모의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 지난 2010년 9월 2560억원 이후 5년만이다. 실권주 발생 없이 증자가 온전히 이뤄지면 하이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5780억원(3월말 기준)에서 6980억원으로 불어나게 된다.
이번 하이투자증권의 증자 추진은 최근 현대중공업그룹이 현대기업금융을 비롯해 현대기술투자, 현대선물 등 3개 금융계열사에 대해 대표를 교체하고 계열 재편 작업에 나선 것과 대조를 이룬다.
3개 금융계열사는 지난해 손실을 기록하거나 이익이 부진했다. 현대기업금융은 지난해 연결기준으로 20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고 현대선물은 9억원의 적자를 냈다. 현대기술투자는 13억원의 이익을 냈지만 직전연도(29억원)의 절반수준에도 못미쳤다. 반면 하이투자증권은 지난해 연결기준으로 227억원의 순익을 벌어 들이며 전년대비 흑자전환(2013년 사업연도 64억원 적자)했고 현대중공업 금융계열사 내 입지를 한껏 키웠다.
이번 유상증자는 구주주를 대상으로 이뤄질 예정으로 현재 하이투자증권의 지분 84.2%를 보유한 최대주주 현대미포조선의 추가 출자가 예상된다. 신주배정비율 상으로는 출자금액이 1000억원에 육박한다. 결국 현대중공업이 성장 가능성이 크지 않은 곳들은 과감하게 정리해 비용을 낮추는 대신 상대적으로 될성 부른 하이투자증권에는 힘을 실어준 셈이다.
◇ 재무 건전성 높이고 규제 대비 효과
하이투자증권의 유상증자는 계열사 내 위상을 확인했다는 상징적인 의미에 더해 실제 영업력 확대를 위한 실탄으로 적극 활용될 전망이다. 아울러 이번 유상증자는 내년부터 시행 예정인 영업용순자본비율(NCR) 개편과 레버리지비율 규제도 감안된 것으로 보인다. 현재 하이투자증권은 기존의 NCR을 적용하고 있고 새로운 NCR이 적용될 경우 NCR이 기존보다 낮아지게 돼 추가 자본확충의 필요성이 커진다.
내년부터 증권사들은 레버리지비율(자기자본 대비 총자산) 규제 역시 적용받을 예정으로 금융위원회는 NCR을 완화하는 대신 2년 연속 순손실이 나고 레버리지 비율이 900% 이상이거나, 또는 레버리지 비율이 1100% 이상인 회사는 경영개선권고를 조치를 받도록 했다.
이런 레버리지 비율 규제는 올해 증권사들이 부채로 인식되는 주가연계증권(ELS) 발행을 크게 늘리면서 레버리지 비율이 전반적으로 크게 높아져 부담으로 지목됐다. 하이투자증권 역시 레버리지비율이 900%(3월말 현재 918%)가 넘은 상태다. 레버리지 비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총자산을 줄이거나 자기자본을 늘려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