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최근 미국 신정부의 관세정책 변화 등은 국내외 금융시장의 또 다른 변동성 확대 요인으로 부담이 계속되고 있다"며 "국가 위험관리자 및 위기대응 관리자로서 부여된 임무와 역할에 충실하겠다"고 밝혔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7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2025년 금융감독자문위원회 전체회의'를 개최하고 이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 다양한 분야의 금융 전문가로부터 현안에 대한 의견을 청취하고, 바람직한 금융시장·산업의 발전 및 감독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다.

이 원장은 "최근까지도 고물가·고금리가 지속되면서 경기 회복이 지연되고 성장의 모멘텀이 제약되는 상황"이라며 "이런 여건이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가계부채, 부동산 PF 등 구조적 위험 요인을 선제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금융권의 내부통제 미흡 등에 대해서는 무관용 원칙으로 엄정히 대응함으로써 금융권의 신뢰 회복을 유도했다"며 "앞으로도 금융선진화 과제가 일관된 기조하에 지속 추진되도록 향후 금융감독 방향을 설정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 원장이 제시한 감독 방향은 △금융시스템 안정성 확보 △자본시장 선진화 △디지털 전환 지원 △금융권 신뢰 회복이다. 먼저 내수 부진 지속, 대내외 산업환경 변화 등이 계속됨에 따라 기업구조 개편과 금융회사 건전성 제고 등이 주요 이슈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어느 때보다 각별한 경계심을 가지고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디지털 전환 관련해선 "IT 부문의 사고는 시장에 대한 신뢰를 저해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디지털 환경을 구축하도록 하겠다"며 "혁신 금융을 위한 인프라를 적극 지원하는 한편, 규율체계 확립 또한 소홀히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금융권의 내부통제에 대해서도 또 한 번 강조했다. 이 원장은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대규모 불완전판매, 금융사고 등으로 금융권에 대한 근본적인 신뢰가 훼손되지 않도록 내부통제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저축은행, 상호금융 등 중소 금융권의 지역과 서민에 대한 자금공급 역할 확대, 보험개혁 과제의 일관된 추진 등 금융권 본연의 역할·기능 회복을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날 전체회의에서 이종오 디지털·IT부문 부원장보는 '디지털 금융 감독 방향 및 최근 금융권 동향'을 주제로 발표했다. △AI·데이터·혁신금융 △IT안전성·보안 △전자금융업 △가상자산 분야의 발전을 지원하겠다는 설명이다.
황선오 기획·전략 부문 부원장보는 △가계부채 확대 △PF 정리 지연 △해외 대체투자 부실화 △고환율 지속 등의 우려를 지적하고, 향후 대응 체계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금융감독원은 "전체회의 이후에도 분과별 자문위원회를 통해 각 분야 최고 전문가와의 소통 노력을 더욱 강화하겠다"며 "금융감독 방향과 주요 현안사항 등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감독서비스의 선진화를 위해 계속 노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