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이복현 "MBK, 홈플러스 신용등급 하락 사전인지...상당한 확신 있다"

  • 2025.04.24(목) 11:38

이복현 원장, 24일 자본시장현안 관련 브리핑
"MBK, 신용등급 하락 사전인지..상당한 확신" 자신감
"경영실패 책임 주주·이사회가 책임져야 하는 것" 강조
'홈플러스사태 TF' 계속 유지..홈플러스 회계감리 진행
"한화에어로 증자, 증권신고서 정정하면 신속검토할 것"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24일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본원에서 자본시장 현안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사진=김보라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사모펀드 MBK파트너스의 홈플러스 신용등급 하락 사전인지 여부에 대해 상당한 확신을 갖고 있다고 재차 밝혔다. MBK측은 사전에 신용등급 강등을 인지하지 못했다는 입장이지만, 금감원은 MBK가 사전에 인지한 것이 맞다고 반박한 것이다. 

아울러 이복현 원장은 홈플러스 경영진이자 주주인 MBK에게 책임있는 모습을 보여달라고 강조했다. 사모펀드라고 해서 달리 볼 것이 아니라 한 기업의 주주이자 경영진인 만큼 경영실패에 대해 책임을 지고 채권자들을 진정성 있게 설득하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24일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본원에서 자본시장 현안 관련 브리핑을 열고 홈플러스 신용강등 사태 및 대주주 MBK파트너스에 대한 그간의 금감원 조사 결과내용을 공개했다. 

앞서 홈플러스는 지난 2월 28일 단기신용등급이 A3에서 A3-로 하락했고 3월 4일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개시 신청을 했다. 금감원은 그동안 대주주 MBK가 홈플러스 신용등급 강등을 인지하고 있었음에도 이를 숨기고 전자단기사채(ABSTB) 등을 발행했다는 부정거래 혐의에 초점을 맞추고 조사를 진행해 왔었다. 

이후 금감원은 조사 내용을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증선위)에 넘기고, 증선위는 지난 21일 증선위원장의 긴급조치(패스트트랙)로 검찰에 통보했다.

이복현 원장은 "MBK파트너스가 언론 등을 통해 신용등급을 사전에 인지 못했다고 했으나 조사한 결과 사전에 신용등급을 인지했고 상당 기간에 거쳐 기업회생신청을 검토했다는 점도 확인해 검찰에 이첩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MBK가 사전에 홈플러스 신용등급 강등을 사전에 인지했다는 점에 대해선 상당한 확신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언론보도 등에서 이메일 등을 입수해 MBK가 신용등급을 사전에 인지하고 있었다는 보도를 했는데 이메일이 증거라고 말한 적 없다"며 "어떤 증거를 갖고 신용등급 하락사전인지 여부를 확인했다고 지금 단계에선 말하기 어려우나 상당한 확신을 갖고 그렇게 판단했다는 점은 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MBK는 신용평가사 한국기업평가로부터 홈플러스 신용등급이 떨어질 수 있다는 예비통보를 받은 후 크레딧라인(신용공여) 1000억원 등 다양한 신용 보강방안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이것이 신용등급 강등 사전인지를 하지 못한 증거라고 강조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이 원장은 "자금보충 약정에 대한 언급은 저도 봤는데 일부 내용을 MBK가 자의적으로 해석하는 것 아닌가 판단하고 있다"며 "그런 주장도 종합적으로 검토해서 검찰 통보조치를 했다"고 말했다. 신용등급 강등 사전인지를 하지 못했다는 MBK측 주장을 인정하지 않은 것이다. 

이복현 원장은 사모펀드가 아닌 경영진 및 주주로서의 책임성을 보여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그는 "MBK가 이익은 사유화하고 손실은 공유하려는 즉, 손실관련 금융당국에 도와달라는 식의 요청을 하는 상황"이라며 "MBK가 회생절차로 가면서 금융당국과의 협조해 대해 어울리지 않는 요청을 한다는 것은 매우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이 원장은 김병주 MBK회장의 사재출연 관련해서도 입을 열었다. 

그는 "자꾸 특정 개인의 희생과 관련한 문제로 프레임화시키는데 경계해야 할 것은 청산가치보다 계속기업가치가 더 높으면 이 기업을 어떻게 재구조화할 것인지를 주주 및 이사회가 고려해야한다"며 "경영실패의 책임은 이사회와 주주에 귀결되기 때문에 단순히 어떤 개인의 출자문제가 아니라 채권자들이 감수할 수 있는 희생의 정도가 진정으로 설득되는지 여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자꾸 특정 개인의 몇백억, 몇십억 출연은 본질을 흐리는 것"이라며 "그분이 출자를 하지 않더라도 법적 주주자격에 있는 누군가가 어느 정도 자금을 낼 수 있느냐가 본질이고 지금처럼 자꾸 시간을 끌고 6월 초 홈플러스 경영계획 인가단계까지 가면 결국 채권자들은 그 경영계획안에 동의하느냐 마느냐를 강요받게 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복현 원장은 홈플러스 신용등급 강등과 관련 MBK경영진을 검찰에 이첩한 상태이지만 최소 다음달 말까지는 태스크포스(TF)를 지속 가동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검찰 수사에도 협조하고 홈플러스 회계 감리를 통해 불법의혹을 지속적으로 규명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복현 원장은 두번에 걸쳐 정정요구를 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상증자 증권신고서에 대해선 "증자의 당위성, 계열사 지분거래 연관성, 자금사용목적의 구체성 등에 대해 정정요구를 했다"며 "회사 측에서 정정신고서를 제출하면 신속 검토하고 기재 상 문제가 없다면 일정 대로 자금조달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
  • 오늘의 운세
  • 오늘의 투자운
  • 정통 사주
  • 고민 구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