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면세점이 새로운 수장을 맞이했다. 수년째 불황의 터널에 갇힌 면세 사업의 위기를 타개할 구원투수다. 롯데면세점이 새 대표를 통해 고꾸라진 수익성을 개선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모든 게 변했다
롯데그룹은 지난달 28일 2025년 정기 임원인사에서 김동하 롯데지주 HR 혁신실 기업문화팀장 전무를 롯데면세점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2년 만의 사령탑 교체다. 이번 인사로 그간 롯데면세점을 이끌었던 김주남 전 대표는 용퇴했다.
김 전무는 '정통 롯데맨'으로 꼽힌다. 1997년 롯데웰푸드(옛 롯데제과)에 입사한 이후 롯데 정책본부 개선실과 롯데슈퍼 전략혁신부문장, 경영지원부문장, 기획지원부문장 등을 두루 거쳤다. 2022년부터는 롯데지주로 자리를 옮겨 기업문화팀장을 맡으며 그룹의 노무와 생산성 관리를 책임졌다. 롯데는 김 전무의 높은 유통업 이해도와 강한 추진력이 면세점 사업과 조직을 개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 전무의 최우선 과제는 악화 일로를 걷고 있는 수익성을 개선하는 일이다. 하늘길만 열리면 모든 게 회복될 줄 알았던 기대감과 달리 면세산업은 현재 극심한 침체에 빠져있다. 실제로 롯데면세점은 지난해 3분기부터 올해 3분기까지 5개 분기 연속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이 기간 누적된 적자 규모는 1180억원에 이른다. 그간 '큰 손'으로 불리는 중국인 단체 관광객(유커) 모시기에 총력을 다했지만, 급격한 중국 경기 둔화로 이들의 발길이 돌아오지 않아서다.
업계는 최소 2~3년 동안 국내 면세점에 큰 호재가 없을 것으로 전망한다. 중국에서 싼커 중심의 한국 여행 트렌드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중국이 주요 대도시 8곳에 시내면세점을 대거 신설하기로 하면서 그나마 있는 싼커들의 이탈마저도 우려되는 판국이다.
고군분투
롯데면세점은 불투명한 업황 속에서 군살이라도 빼야 하는 상황이다. 회복될 때까지 버틸 힘을 가져야 하기 때문이다. 김 전무가 비용 감축에 주력할 가능성이 제기되는 이유다. 취임과 동시에 가장 먼저 할 일은 '나우인명동(구 LDF하우스)'의 영업 종료다. 김 전 대표의 주도하에 쇼룸으로 운영됐던 이곳은 지난 4월 재단장 이후 면세품 판매보다 전시 위주 운영에 집중하면서 수익성 창출에 오히려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져 왔다.
구조조정 카드를 꺼내 들 것인지도 관심사다. 주요 사업장을 점검하는 한편 이익이 나지 않는 해외 면세점을 철수하는 점포 효율화 작업이 대표적이다. 일각에선 국내 면세점을 정리해 돌파구를 찾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외국인 관광객이 비교적 찾지 않는 부산·제주 시내면세점 정리 수순이 거론된다.
앞서 롯데면세점은 지난 2020년 코로나19 장기화로 태국 방콕 시내점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시내점을 잇달아 닫았다. 지난해에는 인천국제공항 면세점이 모두 철수했다. 이로써 롯데면세점은 현재 국내외에서 시내면세점 7곳, 공항면세점 13곳을 운영하고 있다.
롯데면세점 관계자는 "대외적인 환경 변수들이 좋지 않은 상황"이라며 "전반적으로 기초체력을 잘 다져놓는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업황이 회복되기만을 기다릴 수도 없는 노릇이다. 내국인과 개별관광객 수요를 잡기 위한 방안도 세우고 있다. 롯데는 이전부터 유커의 빈자리를 개별여행객(싼커)으로 채우고자 노력해 왔다. 개별관광객의 특성에 맞춰 상품 기획을 개편하고 체험형 요소를 강화하기 위해 힘쓰는 한편 미래 충성고객인 2030세대와 높은 구매력을 가진 기성세대를 대상으로 한 멤버십 운영에도 나서고 있다. 업계에서도 롯데면세점은 개별관광객 유치를 위해 부단히 노력해 온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롯데면세점 대표 자리에 지주 출신을 앉히면서 내부적으로 우려보단 기대감이 큰 상황"이라며 "긴축경영이 반짝 효과에 그치지 않도록 장기적인 방향성을 마련해 위기 극복에 더욱 힘을 실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