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CEO의 경우 무리하게 성과를 내려다가 오히려 갈등을 키우는 모습을 연출해 빈축을 사기도 한다. '금융공기업 성과주의 연내 도입'을 못 박은 정부의 압박이 오히려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 공기업 경영평가 본격화…6월 발표
기획재정부는 최근 금융 공기업 중 '준정부기관'에 해당하는 예금보험공사와 자산관리공사(캠코), 주택금융공사,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에 대한 2015년도 경영평가에 돌입했다.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기업은행의 경우 이달 중 실적평가 보고서를 작성한 뒤 내달부터 평가가 이뤄진다. 경영평가 최종 결과는 오는 6월에 발표한다.
이번에 진행하는 경영평가는 지난해 경영 실적을 바탕으로 이뤄진다. 교수와 변호사, 회계사 등 관련 전문가들로 구성된 평가위원들이 해당 기관의 경영관리 사항과 업무 수행, 인사 및 조직 관리 등을 평가한다.
원칙적으로는 이처럼 지난해에 이미 마무리한 일을 평가하기 때문에 지금 당장 공기업들이 신경 쓸 일은 없어 보인다. 그러나 실적평가 보고서가 수백 쪽에 달해 최근의 언론 보도를 주요하게 참고삼는 경우도 있다는 게 공기업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 금융위원회가 제시한 금융 공기업 성과주의 연내 도입 방안. (자료=금융위원회) |
게다가 올해 경영평가엔 정부가 강하게 추진하고 있는 '성과주의' 도입 여부를 일부 반영하기로 하면서 공기업 CEO들은 더욱 신경 쓰는 모양새다. 정부는 4~5월 중 성과주의를 도입한 공기업에 시기에 따라 1~2점의 가점을 얹어주고 성과급도 더 주기로 했다.
◇ 성과주의 연동에 무리하는 CEO들
지난 12일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공공기관으로는 처음으로 성과연봉제를 적용하기로 한 무역보험공사가 대표적인 사례다. 무보는 올해 추가 성과급과 경영평가 가점의 인센티브를 받는다.
반면 연내에 성과주의 도입을 하지 못하면 페널티를 받는다. 최근 들어 금융공기업 CEO들이 금융노조와의 산별교섭에서 탈퇴하고 각 노조를 무리하게 압박하는 이유다. 금융 노조는 이와 관련 "금융 공기업은 4월 말까지 성과연봉제를 도입하라는 금융당국과 사측의 전방위적 압박에 시달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밖에도 산업은행의 경우 임직원 설명회 개최 과정에서 몸싸움이 일어나고, 기업은행은 외부용역 업체의 설문조사가 매끄럽게 이뤄지지 않는 등 곳곳에서 잡음이 터져 나오고 있다. 연임 이슈가 걸려있거나 임기 첫해 구체적인 성과를 내려는 CEO의 경우 더 무리하게 노조를 압박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금융 공기업 관계자는 "경영평가는 기본적으로 전년 경영 실적을 대상으로 하지만, 올해엔 성과주의 도입 등의 이슈가 겹쳐 있어 더 신경 쓰이는 게 사실"이라며 "정부의 압박에 서두르려다 일이 더 꼬이는 모습도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