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5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만장일치로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했다. 이번 금통위의 결정으로 기준금리는 3회 연속 3.5%로 동결됐다.
물가 상승세가 둔화하는 모습이 확연해진 데다가 경기 회복을 거들기 위해서는 기준금리를 묶어둘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금통위는 추가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닫아두지는 않았다. 이번 금통위에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물가 상승률이 확실히 목표 수준으로 수렴한다는 증거가 있기 전까지는 인하 시기를 언급하거나 생각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 총재는 금통위 이후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위원 모두 이번 금리 인상기 최종금리 수준으로 3.75%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며 "금리인하에 대해서는 물가가 확실히 2% 목표 수준에 수렴한다는 증거가 있기 전까지는 인하시기 언급은 시기상조"라고 말했다.
최근 물가 상승세가 둔화하고는 있지만 여전히 통화당국 중기 목표치인 2%보다는 높다는 의미다. 이날 한은은 연간 소비자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올해 3.5%, 내년 2.4%로 제시했다. 올해는 지난 2월 발표 때와 같지만 내년은 0.2%포인트 낮춘 것이다.
이 총재가 물가 상승세에 따라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도 열어둔 만큼 다음주 금융시장이 가장 주목할 국내 경제지표는 통계청이 내달 2일 발표할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다.
지난 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동월대비 5.2% 상승했다. 이후 2월에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4.8%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고 3월에는 전년동월대비 4.2% 올랐다. 4월에도 전년 동월 대비 4.2%, 5월에는 3.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 상승세는 둔화되고 있는 모습이다.
한국은행이 줄곧 기준금리 인상의 근거로 물가안정을 내세웠던 만큼 물가상승률 둔화세가 뚜렷해진다면 기준금리 추가 인상 판단을 더 늦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추가 인상 필요성을 지울 수도 있다.
오는 30일에는 한국은행에서 4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를 발표한다.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는 예금은행과 비은행금융기관의 수신금리, 대출금리 등을 종합한 자료다. 4월 가중평균금리는 지난 3월 대비 낮아졌을 가능성이 크다. 은행들의 대출금리 하락 폭이 수신금리 하락 폭보다 컸기 때문이다.
다음달 1일에는 관세청에서 무역수지 및 교역조건이 발표된다. 이 자료에는 수출입 전체금액이 어떻게 변했는지가 담긴다. 이중에는 단연 수출과 관련된 지표를 지켜볼 만하다.
지난 3월 수출은 물량과 금액 지수가 동반 하락했다. 수출물량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4% 떨어진 130.36을 기록하며, 2월 반등에서 한달만에 다시 하락했다. 수입금액지수도 167.04로 전년 동월 대비 6.6% 떨어지며 한달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31일 발표하는 5월 비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PMI)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비제조업 PMI 지수는 경기에 더 민감한 서비스 공급자들의 심리를 들여다볼 수 있는 자료다. PMI가 50 이상이면 전달 대비 경기 확장, 50 미만이면 경기 수축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