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열됐던 서울 주택시장이 정부 대책 발표 이후 분위기가 급반전했다. 상승 폭은 크게 줄었고, 일부 지역에서는 호가가 떨어지고 있다.
이제 관심은 앞으로의 집값 방향성이다. 현재 가격 조정기간을 겪고 있는 가운데 얼어붙었던 주택 매매시장이 움직이기 시작하면 집값 방향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이유로 매매시장 움직임에 대한 시장 참여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18일 국토교통부와 한국감정원 등에 따르면 9월 첫째주 0.47%까지 올랐던 서울 집값 상승률은 9.13 대책후 빠르게 축소되고 있다. 9월 마지막 주에는 0.1%, 가장 최근인 10월 셋째주 상승률은 0.05%로 줄었다.
7월 이후 서울 집값은 이상 급등 현상을 보였다. 하루가 다르게 호가가 뛰었고, 일부 지역에서는 집값 담합 현상을 보이는 등 시장이 매우 혼탁했다. 특히 이 기간은 과거 집값 상승시기와 달리 거래량이 크게 줄었다는 점에서 시장을 더욱 혼란하게 했다.
통상 집값 상승 시기에는 거래가 동반되면서 가격을 떠받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 기간 실제 매매거래는 많지 않았다. 7월 서울 주택 거래량은 1만1753건으로 전년 동기와 비교해 절반으로 급감했고, 8월에도 44% 감소한 1만3577건에 불과했다. 실거래없이 호가만 오르며 시장에 버블이 발생한 셈이다.
이에 정부도 서둘러 대책을 마련했다. 8월 말에는 서울내 투기지역을 추가로 지정했다. 9.13 대책을 통해서는 보유세 부담을 늘리고 대출 규제도 강화했다. 결과적으로 과열된 시장은 잠잠해진 상태다.
집값은 한 풀 꺾였지만 매매 움직임은 좀처럼 보이지 않는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9월 서울 주택 매매 거래량은 1만9228건을 기록했다. 이는 전달보다 41.6%, 전년 동기대비 23.5% 증가한 숫자다.
표면적으로는 매매 거래가 움직이기 시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지만 실상은 다르다. 국토부가 집계하는 매매거래량은 계약일이 아닌 신고일 기준인 까닭이다. 업계에서는 실제 매매계약 체결 후 신고를 통해 집계되기까지는 약 40일 간의 시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연구위원은 "계약 후 신고까지의 시차를 감안하면 9월 거래량은 8월 중순 이후부터 이뤄진 거래로 볼 수 있다"며 "당시 정부의 부동산 대책 발표를 앞두고 있던 시점이라 정책 발표 전 매매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했던 것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가격 상승세가 꺾인 만큼 매매 거래가 본격화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기도 한다. 다주택자들 입장에서는 이미 가격이 충분히 올랐고, 세 부담이 늘어나기 전 주택을 처분할 필요성을 느낄 수 있다는 분석에서다.
이에 반해 매수자와 매도자간 팽팽한 줄다리기가 계속되고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실수요자들은 최근 오른 가격에 부담을 느끼고, 상승세가 꺾인 만큼 가격이 떨어지기를 기대하고 있다. 반면 집주인들은 호가를 낮추면서 매물을 처분하는 것은 꺼리고 있다는 것이다.
익명의 한 부동산 전문가는 "다주택자가 매매시장에서 움직이기는 쉽지 않고, 아직은 매도자와 매수자간 원하는 가격 차이가 커서 실제 거래로 이어지기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