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싼 맛에 먹는 국산맥주….'
국산 맥주가 소비자들로부터 인색한 평가를 받았다. 종류가 다양하지 않고 맛도 떨어진다는 것이다. 최근 국산 맥주가 수입 맥주에 점차 자리를 내주는 것도 소비자들의 다양한 취향을 반영하지 못한 결과로 보인다.
![]() |
30일 시장조사전문기업 마크로밀엠브레인에 따르면 `직장인들이 선호하는 맥주`(중복응답)는 국내 브랜드 맥주(65.9%), 해외 브랜드 맥주(56.3%), 생맥주(46.9%), 크림맥주(16.2%), 수제맥주(6%) 순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는 지난 13일부터 16일까지 최근 3개월간 맥주를 마신 경험이 있는 전국 만 19~59세 직장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중복응답이 가능한 질문임을 감안해도 국내 브랜드 맥주에 대한 선호도는 해외 브랜드 맥주에 비해 두드러진 우위를 점하지 못했다.
특히 국내 브랜드 맥주는 가격이 저렴하고(63.6%), 할인 판매가 많아서(32.6%) 찾는다는 소비자가 많았다. 국산 맥주 소비에는 맛보다는 가격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다.
![]() | |
|
실제 소비자들의 73.8%는 국산 맥주의 종류가 다양해졌으면 좋겠다는 인식을 갖고 있었다. 국산 맥주의 맛이 개선돼야한다는 의견도 60.3%를 차지했다. 맥주 맛에 대한 문제제기는 연령이 낮을수록 많았다.
대형마트에선 이미 수입맥주가 국산 맥주를 추월했다. 롯데마트에 따르면 2010년 수입 맥주는 전체 맥주 매출비중의 13.3%에 불과했으나 지난해는 30%로 증가했다. 특히 2013년만 해도 카스·하이트·맥스 등 국산 맥주에 밀려 5위권 밖에 있던 독일 맥주와 일본 맥주는 지난해 맥스와 드라이D 등 국산 맥주를 제치고 5위권 안에 진입했다.
국산 맥주에 식상한 소비자들은 수입맥주뿐 아니라 수제맥주에도 호감을 나타냈다. 마크로밀엠브레인 조사에서 소비자 70% 이상은 수제맥주를 마실 의향이 있다고 답했고, 앞으로 수제맥주를 마시는 사람들이 더 많아질 것이라는 의견에도 10명 중 6명이 동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