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과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등 조선 빅3가 최대 16조원에 달하는 강도 높은 자구계획을 추진한다. 자회사를 비롯한 자산 매각과 함께 인력 감축과 생산력 축소 등을 병행한다.
현대상선과 한진해운 등 해운업에 대해선 용선료 협상과 해운동맹 편입 등 경영 정상화를 지원하되, 유동성은 자체적인 노력으로 해결하도록 방침을 정했다.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 해양수산부, 금융위원회, 고용노동부는 8일 이런 내용의 산업·기업구조조정추진계획을 내놨다.
◇ 대우조선 5.3조원 자구계획...2조 설비 감축
정부는 우선 향후 조선업 수주 상황이 지속해 악화할 것으로 고려해 대우조선해양과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등 조선 3사가 강도 높은 자구계획을 마련하도록 했다.
대우조선의 경우 총 5조 3000억원의 자구계획을 내놨다. 지난해 10월 내놓은 1조 8500억원의 자구계획에 이번에 3조 5000억원을 더했다. 14개 자회사를 모두 매각하고, 생산능력을 30% 축소하는 방안이 담겼다. 특수선 사업부문의 자회사는 분할 후 일부 지분을 매각한다. 여기에 더해 대우조선은 추가 경영 리스크에 대비하기 위해 별도로 2조원 규모의 추가 생산설비 감축 계획을 마련하도록 했다.
현대중공업은 비핵심자산 매각과 경영합리화, 사업 조정 등을 통해 3조5000억원을 확보한다. 하이투자증권 등 3개 금융사를 매각하고, 일부 사업을 철수한다. 자회사 분할 후 지분 매각과 생산 시설 가동 중단, 인력 감축 등 경영합리화도 추진한다. 현대중공업은 또 비상시 3조6000억원을 추가로 확보할 계획이다.
삼성중공업은 비생산 자산을 매각하고 생산설비와 인력 감축 등을 통해 1조 5000억원을 확보하기로 했다. 여기에 더해 이달 말 경영진단 이후 유상증자 등 추가 자구 방안을 마련한다.
◇ 중소 조선사 자체 정상화 안 되면 하청공장으로
성동과 대선, SPP 등 중소 조선사의 경우 유동성 부족을 스스로 해결하도록 하되, 만약 자체 정상화가 어려우면 대형사의 하청공장으로 만드는 등의 처리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정부는 성동조선의 경우 총 3200억원 수준의 자구계획을 이행하면 오는 2019년까지 자금부족은 없을 것으로 파악했다. 반면 대선조선은 670억원 규모의 자구계획을 이행하더라도 내년 중 자금부족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SPP조선은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이 매각을 재추진할 방침이다.
현대상선과 한진해운에 대해서는 일단 경영정상화 방안 이행을 지원한다. 사채권자 채무조정에 성공하고 용선료 협상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현대상선의 경우 해운동맹 편입 등을 지원한다. 이후 채권단 자율협약에 따른 출자전환 등을 통해 재무구조 개선과 지분구조 개편을 한다.
한진해운은 유동성을 스스로 해결하도록 하되, 용선료 협상 등 정상화 방안 추진을 최대한 지원할 계획이다. 만약 용선료 조정과 사채권자 채무조정 등 정상화 방안이 실패하면 법정관리가 불가피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