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카드사 연체율 '쑥쑥'…리볼빙도 '사상최대'

  • 2023.02.14(화) 06:01

지난해 5개 카드사 연체율 평균 1.01%
우리 0.55%P, 신한 0.24%포인트↑
'사실상 연체' 리볼빙 규모 7조원 넘어

신용카드 사용대금을 제때 내지 못하는 이들이 점점 늘고 있다. 연체율 추이가 심상치 않다. 작년 실적을 발표한 5개 카드사 중 삼성카드를 제외한 4개 카드사 연체율이 상승했다. 나머지 전업 카드사들까지 합치면 평균 연체율은 더 올라갈 전망이다.

이런 상황에서 연체로 잡히지 않지만 사실상 연체와 마찬가지인 리볼빙(일부결제금액 이월 약정) 잔액은 사상 최대를 기록해 카드업계 부실화 우려를 더하고 있다.

/그래픽=비즈워치

14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신한·삼성·KB국민·하나·우리카드 등 주요 5개 카드사의 30일 이상 연체율 평균은 지난해 1.01%를 기록했다. 전년 0.82% 대비 0.19%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실적발표를 마친 카드사 5곳 중 삼성카드(0.9%→0.9%)를 제외한 4곳의 연체율이 1년 전보다 높아진 것이다.

우리카드의 연체율 상승폭이 가장 컸다. 우리카드의 연체율은 지난해 말 1.21%로 전년 0.66% 대비 0.55%포인트 상승했다. 업계 1위 신한카드의 연체율은 지난해 말 1.04%로 전년 0.8%과 비교해 0.24%포인트 올랐다. KB국민카드는 1년 사이 0.82%에서 0.92%로, 하나카드는 0.93%에서 0.98%로 각각 0.1%포인트, 0.05%포인트 확대됐다.

아직 실적을 발표하지 않은 현대카드와 롯데카드도 지난해 연체율이 상승했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대체적인 평가다. 현대카드의 경우 지난해 3분기까지 연체율이 0.93%를 기록했다. 이는 2021년 말(0.9%) 대비 0.03%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카드사 연체율 상승은 급격한 금리상승과 경기 하강이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지난해 카드사들은 장기카드대출(카드론)과 단기카드대출(현금서비스) 금리를 법정최고금리(연 20%) 수준 가까이까지 끌어올렸다. 채권시장이 경색되면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은 카드사들이 대출금리를 끌어 올려 이를 상쇄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 과정에서 불경기로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한 차주들이 돈을 제때 갚지 못했고, 이는 결국 연체율 상승으로 이어진 것으로 해석된다. ▷관련기사 : 카드사 조달 금리는 내렸는데…대출 금리 고공행진 왜?(2월9일)

연체율에 잡히지 않지만 사실상 연체나 다름없는 리볼빙 잔액이 사상 최대로 불어나 더욱 우려스럽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전 카드사의 리볼빙 잔액은 7조2621억원으로 집계돼 사상 최대 기록을 다시 썼다. 이는 1년 사이 19.7% 급증한 규모다.

리볼빙은 쉽게 말해 카드 이용금액의 최저 비율(통상 10%)만 갚으면 나머지는 다음 달 결제할 수 있도록 한 서비스다. 저신용층에게는 빚을 갚을 시기를 뒤로 미루는 임시방편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를 고려하면 각 카드사들의 실질 연체율은 발표한 숫자보다 0.5%포인트 안팎 더 높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관련기사: '방심했다간 이월 눈덩이'…카드 리볼빙 손보는 이유(2022년 8월24일)

다만 카드사들은 아직 크게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카드사 한 관계자는 "자산 건전성 관리를 위해 대손충당금을 충분히 쌓는 등 위기 대응능력 확보에 매진하고 있다"며 "카드 여신의 부실화가 걱정될 만한 수준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실제 카드사들은 대손충당금 적립 규모를 늘리며 부실 위험을 낮추고 있다. 지난해 신한카드의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5602억원으로 전년대비 26.5% 늘렸다. 삼성카드와 KB국민카드 역시 7%가량 늘린 6322억원, 5004억원의 대손충당금을 확보했다.

다른 카드사 관계자는 "시장 불확실성 심화에 따라 내실 성장 기조를 유지하고, 시장 상황 모니터링을 강화해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할 예정"이라고 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